현대자동차 중국 현지공장 4곳이 공장 가동을 한때 중단했다가 30일 가동을 재개했다. 중국 시장 판매 부진으로 현지 부품업체에 제때 대금을 지급하지 못해, 부품 공급이 중단됐기 때문이다. 해당 업체가 일단 공급을 재개해 공장은 재가동했지만, 앞날이 그리 밝지 않다. 지금처럼 중국 시장에서 판매 부진이 계속될 경우 더 심각한 국면을 맞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현대·기아차가 중국 시장에서 겪는 어려움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와 떼놓고 생각하기 어렵다. 한국 제품 불매운동이 벌어져 올해 들어 자동차 판매가 급감했다. 현대차 중국법인인 베이징현대의 경우, 7월까지 판매량이 41만5천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30% 가까이 감소했다. 부품업체에 제때 대금을 지급하지 못한 것도 이로 인한 자금난 때문이다. 어려움을 겪는 게 자동차업체만은 아니다. 사드 배치 터를 정부와 맞교환한 롯데도 중국 현지의 100여개 판매장 가운데 90곳가량이 영업을 중단해 엄청난 손실을 보고 있다.
중국이 사드 배치 문제를 빌미로 우리나라 민간기업들에 이렇게 경제적 보복을 가하는 것은 유감스럽다. 특히 현대·기아차의 중국법인인 베이징현대와 둥펑웨다기아는 중국과 50 대 50의 합작법인인데, 이런 일은 앞으로 한-중 간 경제협력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한국 차 불매로 중국 업체들이 득을 보는 것도 아니다. 중국 언론이 보도한 지난 5월까지의 업체별 신차 판매 현황을 보면, 한국 업체들의 신차 판매 대수가 43% 감소하면서 시장점유율이 7.2%에서 3.2%로 떨어졌다. 반사이익은 대부분 일본 업체들에 돌아갔다. 일본 업체들의 판매 대수는 17.6% 늘었고 시장점유율이 15.0%에서 17.3%로 치솟았다. 이런 일로 한국인 사이에 반중 감정이 커진다면 중국으로서도 길게 보아 소탐대실일 수 있다.
정부는 사드 배치로 인한 중국의 경제 보복에 침묵하고 있어선 안 된다. 박근혜 정부가 사드 배치를 밀어붙이면서 경제적 악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했으나, 무책임한 말이었음은 진작부터 분명했다. 새 정부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사드 발사대 잔여분 4기를 모두 임시 배치하기로 결정했다. 정부가 나서지 않고는 해결할 수 없는 사안이다. 중국 정부와 대화에 적극 나서야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