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후 서울 강서구 탑산초등학교에서 열린 ‘강서지역 공립 특수학교 신설을 위한 주민토론회’에서 특수학교 설립을 두고 찬·반 주민들의 의견이 엇갈리자 장애아동 학부모들이 무릎을 꿇고 호소했다. 사진 서울장애인부모연대 페이스북 페이지 화면 갈무리
‘내 동네에 기피시설은 안 된다’는 ‘님비’ 현상이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하지만 5일 서울 강서구 가양동에서 열린 주민토론회에선 우리 사회 님비와 장애인 혐오의 민낯을 본 것 같아 씁쓸하기 짝이 없다.
옛 공진초등학교 자리에 발달장애 학생들을 위한 공립 특수학교를 설립한다는 서울시교육청 계획은 현재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한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막혀 있다. 7월6일 1차 토론회가 무산된 데 이어 엊그제 열린 2차 토론회에서 장애학생 부모 20여명은 “장애가 있는 아이들도 학교는 가야 하지 않겠느냐”며 무릎을 꿇고 눈물을 흘리며 호소했다. 하지만 주민들은 그 자리에 지역구 의원이 총선 전 약속한 대로 국립한방병원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서구엔 사립 특수학교가 한 곳 있고, 서울시내 25개 구 중 8개 구엔 아예 특수학교가 없다는 이유도 댔다.
이곳 주민들만 유별나다고 비난할 일은 아니다. 서울 서초구 옛 언남초 자리에 계획중인 특수학교 설립도 주민들 반대로 토론회가 한 차례 무산된 상태다. 서울시내에 특수학교가 들어선 것은 이달초 기존 한빛맹학교의 유치원 과정이 분화한 강북구 효정학교를 제외하면, 2002년 종로구 경운학교가 마지막이었다. 집값 하락 등을 우려한 주민 반대가 그만큼 거셌기 때문이다. 올해 4월 기준으로 전국의 특수교육 대상 장애학생의 수는 8만9300여명이다. 이 중 2만5800명만이 특수학교 173곳에 재학중이다. 특수학교에 가야 하는 중증인데도 어쩔 수 없이 일반학교에 가거나, 동네에 특수학교가 없어 1시간 이상씩 걸려 통학하는 학생이 부지기수다.
시교육청은 운동장과 1개 동을 제외한 나머지는 도서관·북카페 등 주민편의시설로 제공하는 등 ‘상생 모델’을 통해 주민들을 설득해나갈 계획이다. 소수자 차별과 배제가 아닌 통합과 공존의 문화가 강서구에서 먼저 싹트기를 간절히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