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영방송 파업이 계속되는 가운데 고용노동부가 김장겸 사장 등 <문화방송>(MBC) 전·현직 경영진 6명을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고용부는 2012년 파업에 참여한 언론인들에 대한 인사조처 등을 부당노동행위로 인정했다. 고용부의 결론은 지극히 상식적이고 정당하다.
김재철-안광한-김장겸 사장 체제의 문화방송 경영진이 공정방송을 요구하는 구성원들에게 가한 응징과 보복은 누구라도 공분을 느낄 수밖에 없는 노골적인 부당행위였다. 그런데도 문화방송 경영진은 고용부의 수사 결과에 대해 “정권의 문화방송 장악 음모”라고 반발하고 있다. 최근 공개된 국가정보원 문건 등이 보여주는 대로, 공영방송 장악에 혈안이 돼 마구잡이로 탄압의 칼날을 휘두른 것은 ‘이명박-박근혜 청와대’의 보수정권이었다. 그 시절에 방송장악 음모를 막기는커녕 정권과 함께 춤을 춘 사람들이 이제 와서 정의의 사도라도 되는 양 큰소리치는 꼴은 보기 역겹다. 검찰은 부당노동행위에 가담한 다른 경영진으로도 수사를 확대해 예외 없이 법의 심판을 받도록 해야 한다.
문화방송과 <한국방송>(KBS)의 공동 총파업이 오는 4일로 한 달을 맞는다. 이대로 가면 언론인들은 추석 당일에도 파업 전선에 설 수밖에 없다. 양대 공영방송 총파업이 장기화하면서 두 방송사의 주요 프로그램들이 파행을 거듭하고 있다. 문화방송의 경우 아침·저녁 뉴스를 녹화방송으로 내보내는 전례 없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그런데도 공영방송 경영진은 해볼 테면 해보라는 식의 버티기로 일관하고 있다. 한국방송 경영진은 29일 “안보위기 상황에서 국가기간방송 종사자들의 직무 이탈은 무책임한 행위”라며 오히려 파업 언론인들을 압박하고 나섰다.
그러나 공영방송 경영진은 시청자인 국민이 공영방송 구성원들의 파업을 지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지난 한 달 동안 나온 여러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60% 이상이 공영방송 사장의 사퇴에 찬성했다. 최근 <시사인>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한국방송과 문화방송 파업에 대해 ‘노조의 주장을 신뢰한다’는 응답(62.3%)이 ‘경영진의 주장을 신뢰한다’는 응답(13.6%)을 압도했다. 국민의 절대다수가 파업을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두 방송사 경영진은 이제라도 현실을 받아들이고 순리를 따르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