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노벨평화상을 반핵운동단체인 ‘핵무기폐기국제운동’(ICAN)이 받기로 한 건, 최근 북핵 위기로 충돌 위험이 높아진 한반도에 적지 않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노벨위원회는 6일(현지시각) 핵무기폐기국제운동을 수상자로 발표하면서, 비핵화를 향한 이 단체의 노력과 함께 “북한이 전형적인 예가 되고 있듯이 더 많은 국가가 핵무기를 보유하려 시도하는 위험”을 특별히 언급했다. 북핵 문제를 둘러싼 일촉즉발의 상황이 이 단체의 수상에 영향을 끼쳤다는 뜻이다. 베아트리세 핀 핵무기폐기국제운동 사무총장도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둘 다 멈춰야 한다”고 북·미 양쪽의 자제를 촉구했다.
그러나 반핵단체의 평화상 수상에 아랑곳없이, 북-미 간 대결은 추석연휴에도 멈추지 않고 더욱 첨예해졌다. 북한은 7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열어 핵과 경제의 병진 노선을 철저히 관철해서 ‘국가 핵무력 건설의 역사적 대임을 완수할 것’을 결의했다고 북한 매체들이 보도했다. 더구나 노동당 창건일인 10일을 전후해 새로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러시아 의원들이 전했다.
이에 맞선 트럼프 미 대통령의 발언도 위험 수위를 넘나들고 있다. 며칠 전엔 현 상황을 ‘폭풍 전 고요’라고 하더니 7일(현지시각) “지난 25년간 북한과의 대화는 효과가 없었다. 유감이다. 그러나 단 한가지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마치 군사행동을 연상케 하는 글을 트위터에 올렸다. 트럼프의 트위터 정치는 고도의 심리전이란 분석도 있지만, 언제든지 통제선을 훌쩍 넘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전세계에 안겨준다.
이런 시점에 노벨위원회가 핵무기 폐기운동을 벌여온 반핵단체에 평화상을 준 것은 매우 시의적절했다. 어떤 경우에도 북핵 위기가 군사적 충돌로 비화해선 안 되며 반드시 평화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는 국제사회의 희망을 담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북한은 핵개발을 포기해야 하고, 미국 역시 전세계 핵무기의 폐기를 향한 움직임에 동참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반핵단체의 평화상 수상에 미국 정부는 떨떠름한 반응을 보였고 북한은 아무런 반응을 내놓지 않았지만, 이런 두 나라의 태도는 국제사회의 바람을 거스르는 것임을 깨달아야 한다.
이제 북핵 문제를 대화와 협상을 통해 풀어야 한다는 데 국제사회의 동의가 이뤄졌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분명해졌다. 미국과 북한은 이런 흐름을 직시하길 바란다. 김정은의 핵·미사일 실험이나 트럼프의 말폭탄 공세가 협상을 향한 ‘긴장의 극대화’라 보는 분석도 있지만, 그렇게 놓아두기엔 지금 한반도 정세는 너무 불확실하고 위험천만하다. 북·미 양쪽은 더이상 긴장을 높이는 언행을 중단하고 ‘평화’와 ‘비핵’이라는 국제사회의 여망에 동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