쑹타오 중국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이 18일 평양에서 리수용 북한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을 만났다. 중국공산당 대외연락부 누리집 갈무리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특사로 쑹타오 중국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이 평양을 방문했다. 쑹 부장은 17~18일 북한 정권 2인자로 평가되는 최룡해 당 부위원장과 리수용 당 국제담당 부위원장 등과 각각 회담을 했고, 19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의 면담 가능성이 주목됐다.
이번 방북은 표면적으로는 중국공산당 제19차 전국대표대회 결과를 전하는 것이다. 하지만 북한 핵 및 미사일 문제 등 한반도 상황 전반에 대한 의견을 나눴을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 그리고 한국과의 ‘사드 봉합’ 등으로 한반도 기류가 변화 조짐을 보이고 있어 이번 방북은 더욱 관심을 받았다. 중국은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의 6자회담 복귀를 꾸준히 권고해왔다. 이번 방북에서도 이런 뜻을 전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북한이 현재까진 중국의 제안을 순순히 받아들이지 않았을 것이다.
중국 <환구시보>가 18일 사설에서 “쑹타오는 마술사가 아니다”라고 한 것처럼 이번 방북이 한반도의 획기적 전환점이 되리라 보긴 힘들다. 그럼에도 이번 방북은 냉랭했던 북-중 관계에 작은 숨통을 틔워주는 역할은 할 수 있다. 최근 미국이 북한에 대한 대화의 문턱을 조금씩 낮춰가고, 이에 부합하듯 북한의 도발도 한동안 잦아든 상태다. 이런 상황에선 중국도 북한에 대해 ‘대화 재개’를 강권하는 게 상대적으로 수월하다.
우리 정부도 한반도를 둘러싼 미세한 정세 변화라도 ‘대화’ 국면으로 유도하는 데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내년 평창 겨울올림픽의 북한 선수단 참가를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추진해야 한다. 나아가 유엔이 ‘올림픽 휴전 결의’를 한 마당에, 이 시기와 맞물리는 한-미 연합군사훈련의 연기 등도 앞서서 적극 검토하는 등 평창올림픽을 좋은 기회로 삼아 한반도를 ‘대화’와 ‘평화’로 이끄는 데 작은 불씨라도 피워나가는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