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미국 뉴욕에서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대응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전체회의에서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대사가 발언하고 있다. 뉴욕/AFP 연합뉴스
미국 행정부 관리들이 미 선수단의 평창 겨울올림픽 참가 여부를 놓고 이해하기 힘든 발언들을 내놓았다.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대사가 6일(현지시각) <폭스 뉴스> 인터뷰에서 미국 선수들의 평창올림픽 참가에 대해 “아직 해결되지 않은 문제”(open question)라고 답변을 한 게 발단이 됐다. 그는 ‘아직 들은 바는 없지만’이란 단서를 달긴 했지만 “어떻게 미국인들을 보호할지에 관한 일”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북핵 위기 때문에 선수단 안전이 우려된다는 취지인데, 전세계에 ‘한국은 위험하니 조심하라’는 메시지를 보낸 것이나 마찬가지다. 올림픽 안전을 보장해도 모자랄 상황에 오히려 ‘위기론’에 기름을 끼얹는 격이다. 매우 부적절할 뿐 아니라, 미국이 진정한 동맹국인지를 의심케 할 정도다.
여기에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7일 정례브리핑에서 “올림픽 개막이 가까워지면 (참가를) 결정하게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이 판단하게 될 것”이라고 말해 혼란을 부채질했다. 올림픽 선수단 참가는 각국 올림픽위원회가 결정하며, 미국 올림픽위원회는 이미 지난 9월에 참가를 확인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30일 한-미 정상 통화에서 “올림픽에 고위급 대표단 파견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를 보더라도 헤일리 대사와 샌더스 대변인의 말은 앞뒤가 맞질 않는다. 샌더스 대변인은 브리핑 직후 곧바로 트위터에 “미국은 한국에서 열리는 겨울올림픽에 참가하길 고대하고 있다”는 글을 올려, 브리핑 발언을 사실상 ‘수정’했다.
이런 해프닝이 일어난 배경엔 외교관 경력이 전무한 헤일리 대사와 허커비 대변인의 자질 문제가 깔려 있을 것이다. 한반도 문제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 내부 인식의 한 단면을 은연중 드러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더 심각한 건, 트럼프 행정부가 동맹국에 대한 배려가 없고 지극히 자국 중심적으로 동맹을 바라보고 행동하고 있다는 점이다. 백악관을 포함한 주요 부처 내부의 정책 조율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미국 내 지적이 많은데, 이번 상황 역시 그런 점에 대한 불안감을 더한다.
국내 일부 보수진영에서 이번 사안을 두고 한반도가 정말 큰 위기에 빠진 것처럼 불안감을 조장하고 있다. 매우 잘못된 정략적 태도다. 미국 정부 내부의 조율되지 못한 이견을 침소봉대해 근거 없는 위기론을 확산시키려는 건, 그들이 자주 말하는 ‘이적행위’와 다를 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