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통합에 속도를 내고 있다. 3일 통합추진협의체 첫 회의를 열어 2월 안에 통합을 마치기로 했다. 하지만 두 당이 핵심 가치인 대북정책에서 다른 목소리를 내는 등 신당 정체성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두 당의 안철수·유승민 대표부터 남북대화에 대한 얘기가 다르다. 유승민 대표는 3일 “남북 고위급 회담이 성사되면 반드시 북핵 문제를 다뤄야 한다”며 “북한의 올림픽 참가를 환영하지만, 참가 자체가 어떻게 북핵을 해결한다는 것인지 납득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안철수 대표는 “평창올림픽이 비핵화와 평화의 첫걸음이 되길 바란다”며 “일희일비하거나 성급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남북 회담에서 북핵을 다뤄야 한다는 유 대표와 단계적 접근을 강조한 안 대표의 시각은 사뭇 다르다.
유 대표는 안보에서 ‘강경보수’다. 그는 이날 북핵 동결은 해법이 될 수 없다며 “심각한 문제를 후손에 떠넘기려는 ‘친북좌파’의 얄팍한 위선을 국민이 알아야 한다”고 했다. 현 정부를 겨냥한 말이다. 유 대표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신년사에 대해 “남남 갈등을 부추기고 한-미 동맹을 이간질하려는 것”이라고 했다. 이는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의 시각과 일맥상통한다.
안 대표는 대북 문제에서 ‘합리적 중도’에 가깝다. 그는 김정은 위원장 신년사에 대해 “북한의 올림픽 참가를 환영한다”며 “올림픽 기간에 북한 핵·미사일 대비도 게을리하지 말아야 된다”고 원론적으로 말했다. 국민의당은 총선 때 햇볕정책을 계승하겠다고 공약까지 했다.
이처럼 대북 문제부터 견해가 다른데, 두 당이 합치는 것을 국민에게 어떻게 설명하겠다는 건지 알 수 없다. 나중에 어찌되더라도 우선 합쳐서 몸집을 불리고 보자는 정치공학이라면 무책임하다. 두 당 지도부는 통합신당의 대북관, 안보관의 차이를 국민에게 책임 있게 설명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