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7일 여수마라톤대회 행사장에 함께 참석한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와 박지원 의원.
통합에 반대하는 국민의당 의원들이 새로 띄울 신당의 당명을 ‘민주평화당’으로 확정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 ‘통합추진협의체’도 당명 공모에 나섰다. 양쪽 모두 조금도 물러설 기세가 아니니 분당은 ‘초읽기’에 들어갔다고 봐야 한다. 어차피 결별이 불가피해졌다면 ‘아름다운 끝맺음’을 하는 게 의미 있는 일 아닐까 싶다.
양쪽의 의견 차이는 통합 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대북정책에서 건너기 힘든 간극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거듭 확인됐다. 문재인 정부를 바라보는 시각도 크게 엇갈린다. 핵심 가치와 노선, 향후 진로에 대한 생각이 확연히 다르다. 대북 화해·포용 정책 선봉에 섰던 박지원 정동영 천정배 의원 등에게 ‘햇볕정책 폐기’를 요구하는 유승민 의원과 한 지붕 밑에서 살도록 요구하는 게 과연 타당한 일일까. 같은 당 울타리 안에서 공존하는 게 쉽지 않다는 결론에 이르렀다면 각자 제 갈 길을 걷는 수밖에 달리 도리가 없다.
국민의당은 “분열과 대립을 마감하고 사회통합을 이루겠다”며 출범한 정당이다. 통합파와 반대파로 나뉘어 연일 험한 말들을 주고받는 모습은 이와 너무나 거리가 멀다. 새 정치를 해보겠다며 한솥밥 먹던 이들이 서로에게 독재자 낙인을 찍고, 배신자 딱지를 붙이기에 바쁘니 딱하고 민망한 노릇이다. 이런 분위기라면 2월4일로 잡힌 전당대회에서 극심한 물리적 충돌마저 우려되는 형편이다.
통합에 반대하는 비례대표 의원들을 억지로 끌고 가려는 모습도 옹색해 보인다. 의석 한석이 아쉬운 현실정치를 쉽게 무시하긴 어렵지만, 그래도 가능하면 국회의원의 정치적 의사를 존중해주는 게 옳다고 본다. 바른정당 창당에 동의했던 김현아 의원은 아직도 자유한국당에서 ‘왕따’ 신세를 못 면하고 있다. 유승민 바른정당 대표가 ‘정치적 해법’을 주문한 것도, 안철수 대표에게 ‘출당’이란 방식으로 통합 반대 비례대표 의원들의 의사를 존중해주라는 취지일 것이다.
이별에도 예의가 필요한 법이다. 악다구니와 드잡이로 점철된 진흙탕 싸움 끝에 출범한 신당이 국민적 명분을 얻기란 쉽지 않다. 기왕 헤어지기로 했다면 협상을 통해 인적, 물적 지분을 적절히 분배하는 ‘합의에 의한 분당’을 하는 게 보기에 좋다. 추구하는 목표와 가치가 달라 서로 다른 길을 가겠다는데 누가 그걸 막을 수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