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선수단과 응원단, 태권도시범단 등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 관련 시설을 점검하기 위한 북쪽 선발대와 남북 단일팀에 참가할 북한 여자 아이스하키 선수단이 25일 경의선 CIQ를 통해 남쪽으로 들어서고 있다. 가운데는 북쪽 윤용복 단장. 사진공동취재단
북한이 평창 겨울올림픽 개막 전날인 2월8일 건군절 열병식을 준비하고 있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26일 “상당히 위협적인 열병식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북한은 그동안 4월25일을 건군절로 기념해오다 2015년부터 애초 건군절인 2월8일을 강조했고, 올해는 70주년을 맞아 대규모 열병식까지 열기로 했다고 한다.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이 70주년을 맞아 군 통수권자로서의 확고한 위상을 보여주기 위해 이런 행사를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북한 의도가 무엇이든 간에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와 남북대화 재개로 한반도 평화 기대가 한껏 높아진 이때, 대규모 열병식은 찬물을 끼얹는 것이다. 또 북한의 표면적 주장과 상관없이 국제사회는 이를 ‘핵무력과 대화의 공존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전하려는 의도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북한 당국에 대한 신뢰와 기대치를 더욱 낮춰, 북-미 대화 등의 여정에 큰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같은 선상에서 비교는 힘들지만, 한·미 두 나라는 올림픽을 맞아 예정된 연합군사훈련을 연기하는 조처를 취했다. 북한은 아예 한-미 연합훈련 영구 중단을 요구한다. 그러면서 자신들은 올림픽 전날 대규모 군사시위를 벌인다면, 많은 이들이 북한 주장의 진의를 의심할 것이다. 이는 더욱 강력한 대북 압박을 요구하는 국내외 강경 세력에게 힘을 실어주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올림픽이 끝나자마자 한-미 연합훈련 재개와 북한 반발, 그리고 추가 대북 제재 등 ‘올림픽 이전’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은 남북한과 국제사회 누구도 원치 않는 일이다. 항의한다고 북한이 열병식을 철회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그러나 정부는 남북대화에서 입장을 설명하고 북한의 자제를 당부해야 한다. 올림픽을 코앞에 두고 자칫 ‘꼬리가 몸통을 흔드는’ 우려스러운 상황이 벌어지지 않도록 다각적인 상황 관리에 힘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