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청와대’가 세월호 참사의 책임을 피하기 위해 박 전 대통령이 보고받은 시각과 횟수 등을 조작한 사실이 검찰 수사에서 밝혀졌다. 참사 당일 청와대 재난·안보 담당 참모들 대신 관저를 방문한 최순실씨 및 문고리 3인방과 대책을 논의한 사실도 새롭게 드러났다. 황당하고 참담하다.
검찰 발표에 따르면 박 전 대통령은 구조의 골든타임이 지난 사고 당일 오전 10시22분께야 김장수 안보실장과 처음 통화했고 서면보고서도 그 직전에야 관저 침실에 전달됐다. 수백명 목숨이 경각에 달린 위중한 상황임에도 의례적 구조 지시만 하고는 본관에 나가지 않은 채 내내 관저에 머물렀던 것이다. 오후 2시15분께 최순실씨가 관저에 온 뒤에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방문을 결정하고 준비에 들어갔다니, 말문이 막힌다.
실시간으로 11차례 서면보고를 받았다는 애초 주장과 달리, 박 전 대통령은 오후와 저녁 단 두차례만 정호성 비서관한테서 상황보고서를 받았다고 한다. 세월호 선내의 마지막 카톡이 있던 오전 10시17분을 골든타임으로 보고, 비난을 피하려 이보다 이른 오전 10시에 보고받은 것처럼 모든 서류와 증언을 조작했다는 게 검찰의 판단이다.
당시 온 국민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텔레비전 중계를 지켜보는 상황이었는데 대통령은 안보실장의 두차례 긴급전화도 받지 않고 침실에 머무르다 문 앞까지 찾아온 안봉근 비서관이 여러 차례 부르는 소리에 밖으로 나왔다고 한다. 왜 그 시간까지 침실에 머물렀는지는 이번 수사에서도 밝혀지지 않았다.
탄핵과 구속 사유에서도 이런 황당한 직무유기 책임은 제대로 추궁하지 못했다. 그가 저지른 어떤 국정농단죄보다 가볍지 않다. 2기 특별조사위와 선체조사위가 다시 활동 중이다. 원혼들의 넋이라도 위로받을 수 있게 끝까지 진실을 밝히는 게 산 자들의 책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