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송도에 있는 삼성바이오로직스 본사. 삼성바이오 홈페이지
금융감독원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혐의를 인정하는 결론을 내림에 따라 금융계 안팎에 파장이 일고 있다. 금감원은 지난해 3월부터 벌여온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한 특별 감리(회계의 적정성 판단)를 마치고 ‘조치사전통지서’를 회사와 감사인인 삼정·안진회계법인에 통보했다. 조치사전통지는 최종 의사결정기구인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에 안건 상정을 요청하기 앞서 위반 사실과 예정된 조처의 내용을 당사자들에게 미리 안내하는 절차다.
국내 최대 삼성그룹 계열사의 분식회계 혐의가 금융당국에서 인정됐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충격적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삼성 쪽에서 반도체와 휴대폰을 이을 새로운 성장 돌파구인 ‘신수종’ 사업의 핵심으로 꼽은 바이오 분야의 대표 기업이다. 또 최대주주는 삼성그룹의 지배구조에서 정점을 차지하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최대주주로 두고 있는 삼성물산이다. 주가가 요동치는 등 금융시장에서 비상한 관심을 쏟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혐의는 심상정 정의당 의원과 참여연대의 의혹 제기에서 비롯했다. 2016년 11월 상장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011년 설립 이후 계속 적자를 내다가 상장 전해인 2015년 1조9천억원의 순이익을 낸 것으로 발표되면서 불거진 문제였다.
분식회계는 중대한 금융 범죄다. 기업 회계 조작은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끼친다. 금융 선진국들이 분식회계에 대해 엄격한 제재를 가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특히 삼성은 2015년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합병 과정에서 제일모직이 성장성 높은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자회사로 거느리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 이재용 부회장의 승계 과정과도 얽힌 사안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게 이 때문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일 기자회견을 열어 혐의를 적극 부인했다. 국내 3대 회계법인(삼정·안진·삼일)의 안내에 따랐고, 증권선물위원회로부터 조사권을 위임받은 공인회계사협회의 감리에서도 문제없다는 결론을 받았다는 주장이다. 금융감독 당국은 이런 주장까지 포함해, 앞으로 거치게 될 증권선물위원회와 금융위원회 의결 과정에서 실상을 명백히 밝히고 응분의 조처를 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