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준 자유한국당 혁신비대위원장이 17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차 전국위원회에서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김경호선임기자 jijae@hani.co.kr
자유한국당이 17일 전국위원회를 열어 김병준 국민대 명예교수를 혁신비상대책위원장으로 선출했다. 6·13 지방선거 참패 이후 당 쇄신을 놓고 혼란을 거듭하던 자유한국당이 김병준 비대위원장 체제를 출범시킴으로써 일단 변화의 계기를 마련했다. 하지만 앞날이 결코 순탄치만은 않아 보인다.
참여정부에서 청와대 정책실장을 맡으며 노무현 정부의 ‘정책 좌장’으로 불리던 김 비대위원장이 자유한국당의 ‘임시 선장’을 맡은 것은 상당히 파격적이다. 그가 평소 중도 보수 목소리를 내왔다는 점에서 자유한국당이 그동안의 낡은 이념 색채를 탈피할 기회가 될 수 있다.
김 비대위원장은 이날 “잘못된 계파 논쟁과 진영 논리와 싸우다 죽어서 거름이 되면 큰 영광”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미래를 위한 가치 논쟁과 정책 논쟁이 정치의 중심을 이루도록 하는 꿈을 갖고 있다”고 했다. 자유한국당의 해묵은 계파 대립을 일소하고 새 가치에 입각한 정책 정당으로 발돋움하도록 하겠다는 포부인 셈이다.
김병준 비대위 체제가 출범했지만 비대위원장의 권한과 활동 기한 등 모호한 점이 아직 많다. 당의 대표 격인 비대위원장을 어렵사리 뽑은 만큼 전권을 주어 제대로 된 혁신을 하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 그러지 않는다면 김병준 비대위가 일시적으로 위기를 모면하려는 눈가림용이란 비판을 피할 수 없다.
자유한국당의 혁신을 위해선 인적 청산과 정책 변화가 무엇보다 긴요하다. 사람이 바뀌지 않고서 당이 바뀌었다고 국민에게 설명하기 어렵다. 당을 해체 수준에서 재정립한다는 각오로 전면적 인적쇄신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시대착오적 반공 이데올로기, 강자 위주의 정책 등 낡은 이념적 잔재들도 청산해야 한다. 과거와 정책 단절 없이 새 가치나 정책을 내놓을 수는 없다.
김병준 비대위원장이 ‘친노’ 핵심에서 보수 본산으로 활동무대를 옮긴 것을 두고 이런저런 말이 많다. 그는 탄핵 정국에서 박근혜 대통령으로부터 총리 지명까지 받았다가 좌절되기도 했다. 일각에선 그가 정치적 욕심이 너무 많다는 얘기도 한다. 비대위원장이란 자리는 사심을 갖는 순간 모든 게 물거품이 될 수 있다. 비대위원장의 가장 중요한 덕목이 ‘사심 없음’이란 점을 김 위원장은 명심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