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해고자 복직 합의’가 발표된 14일 오전 쌍용차 해고 사태 관련 희생자를 기리고자 마련된 서울 중구 대한문 시민분향소에서 김득중 전국금속노동조합 쌍용자동차지부 지부장이 축하인사를 받고 있다. 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30명의 죽음, 9년여간의 기다림 끝에 쌍용자동차 해고자 전원이 복직하게 됐다. 단위 사업장의 노사문제를 넘어 온 사회에 깊은 트라우마를 남겼던 쌍용차 사태였기에 많은 이들이 만감이 교차했을 것이다. 사회적 합의로 ‘갈등의 10년’을 매듭지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14일 최종식 쌍용차 사장과 홍봉석 노조 위원장, 김득중 금속노조 쌍용차지부장,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장이 발표한 합의문에 따르면, 해고자 119명 가운데 60%는 올해 말까지, 다른 이들은 내년 상반기까지 단계적으로 채용된다. 정부는 무급휴직자 발생 때 교육훈련을 포함해 경영적 어려움을 덜어줄 수 있는 지원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노조 쪽은 회사를 상대로 하는 집회나 농성을 중단하고 민형사상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는 등의 내용도 포함됐다. ‘2017년 상반기까지 (전원 복직에) 노력한다’고만 했던 2015년 합의와 달리 이번만큼은 ‘완전한 해결’이 될 것이란 기대가 크다. 노사 모두 합의 내용을 철저히 지키며 그간 쌓인 불신을 해소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번 합의에는 정부의 중재 노력, 회사의 대승적 결단 등이 작용했다. 지난 6월 서른번째 희생자인 김주중씨의 죽음 이후, 사회적 관심이 다시 집중된 것도 큰 구실을 했다. 최근엔 쌍용차에 대한 대법원 판결이 ‘재판거래’ 의혹 가운데 하나로 제기됐고, 2009년 진압이 ‘국가폭력’이었음을 인정하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무엇보다 절망 속에서도 “함께 살자”는 외침을 잊지 않고 선별면접을 거부하며 전원 복직을 요구해온 해고 당사자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쌍용차 사태는 사회안전망이 제대로 구실을 못 하는 사회에서 기업의 폭력적인 구조조정이 얼마나 깊은 사회적 갈등과 아픔을 낳는지 보여줬다. ‘해고=죽음’이 되는 사회적 구조를 바꾸는 노력을 정부와 기업, 노동계가 시작해야 할 때다. 노사가 함께 쌍용차의 새 도약을 일궈 우리 사회에 ‘희망’을 전해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