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전사 요원들이 혹한기에 적진 침투 훈련을 하고 있다.
육군이 특전사 요원이 개인별로 구매해 사용 중인 ‘피복 및 장구류’에 대한 허용 기준과 절차를 마련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일부 요원이 이들 물품을 개인 구매해 사용함으로써 성능과 안정성에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어 이를 바로잡는 차원이라고 밝혔다.
최상의 전투력을 유지해야 할 특전사 요원들에게 제대로 된 전투복과 장구, 장비를 지급하지 못해 개인 비용으로 구매하도록 하고, 뒤늦게 양성화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 참담하고 가슴 아프다. 그동안 특전사 요원들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질 낮은 보급품 대신 방한복이나 전투화는 물론 탄창, 조준경, 헬멧까지 이른바 ‘사제’를 쓰고 있다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이었다. 하지만 이를 마련하지 못한 요원들 사이에 위화감이 조성되고, 지휘관에 따라 허용 기준도 달라 문제가 발생하자 군이 정확한 기준을 마련해 사실상 양성화하겠다고 밝힌 셈이다.
해마다 엄청난 국방비를 쓰면서 왜 이런 문제가 생겼는지 군 당국은 면밀히 살펴야 한다. 1998년 민주지산에서 천리행군 하던 특전사 요원 6명이 폭설에 얼어죽는 사고가 발생한 뒤에도 군은 피복 및 장비 개선 등을 약속한 바 있다. 저가 입찰 등 보급품 조달에 문제가 있다면 손봐야 한다. 육군은 ‘워리어 플랫폼 사업’ 추진을 가속화해 2023년까지 첨단 소재와 기술을 적용한 전투복, 조준경 등 보급품 33종을 개발해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군인의 생존력과 전투력을 높이는 보급품 제공은 국가의 당연한 책무다. 하루라도 빨리 보급을 서두르고, 일반 군부대까지 확대하길 바란다.
사제 허용 확대 우려도 불식해야 한다. 군은 ‘일반부대에까지 확대 적용은 현재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지만, 비용 부담 때문에 군에 간 자녀에게 좋은 장비를 사주지 못해 자책하는 국민들의 우려도 잊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