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천 청와대 의전비서관이 23일 새벽 서울 종로구 청운동 주민센터 앞에서 음주 단속에 적발됐다. 김 비서관의 혈중알코올농도는 0.12%로 운전면허 취소 기준을 넘었고, 의전비서관실 직원 두 명이 함께 타고 있었다. 김 비서관은 사직서를 냈고, 임종석 비서실장의 보고를 받은 문재인 대통령은 김 비서관을 직권면직했다. 하지만 그것으로 끝낼 일이 아니다. 청와대 직원들의 음주운전 방조 여부를 조사하고, 비서실의 기강을 전반적으로 다잡아야 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 비서관이 청와대 인근 효자동 한 음식점에서 직원 환영·환송회 뒤 대리기사를 불렀으나 기사가 제대로 찾아오지 못해 청운동 주민센터 앞까지 100m 정도 운전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대통령을 가까이에서 보좌하는 의전비서관이 비서실 소속 차량으로 음주운전을 한 것은 어떤 해명으로도 납득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다. 더욱이 회식을 함께 한 의전비서관실 직원들이 음주운전을 말리지 않고 함께 차를 탔다는 것은 충격적이다. 군 휴가 중 음주운전 차량에 치여 숨진 윤창호씨 사건을 계기로 음주운전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세다. 문 대통령도 지난달 10일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음주운전 사고는 실수가 아니라 살인행위가 되기도 한다. 음주운전을 실수로 인식하는 문화를 끝내야 한다”며 처벌 강화를 지시한 바 있다.
이번 사건은 기강이 해이해진 청와대 비서실의 현실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일 뿐이다. 이미 지난달 청와대 경호처 5급 직원이 술에 취해 시민을 폭행하고, 경찰서에서 “내가 누군지 아느냐”며 행패를 부린 일이 있었다. ‘제 식구 감싸기’는 안 된다. 일련의 사건은 집권 3년 차를 앞둔 청와대의 기강이 생각보다 심각하게 무너졌다는 우려를 낳고 있는 만큼 동승 직원의 음주 방조 혐의 등을 철저히 조사해 합당한 책임을 묻고, 비서실의 기강을 바로 세우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