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정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른바 ‘공항 갑질’ 논란에 휩싸였다. 국내선 비행기를 탑승하면서 공항 직원과 마찰이 생기자 언성을 높이는 등 고압적 태도를 보였다는 것이다. 사건 경위는 양쪽 주장이 달라 좀더 규명해야겠지만, 김 의원이 과연 선출직 고위 공직자로서 올바르게 처신했는지 되돌아봐야 한다.
김 의원은 지난 20일 김포공항에서 항공기에 탑승하면서 신분증을 스마트폰 케이스 투명창에서 꺼내 보여달라는 공항 직원에게 거친 말을 하며 갑질을 했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직원 요구에 김 의원은 ‘지금껏 이 상태로 확인받았다’며 “내가 국토위 국회의원인데 그런 규정을 찾아오라”는 등 고압적 언행을 했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논란이 확산되자 “욕설을 했다고 보도됐으나 결코 그렇지 않다”며 “항의가 정당하더라도 거친 감정을 드러낸 건 반성한다”고 말했다.
상식적으로 볼 때 신분증을 꺼내 보여달라는 보안요원의 요구를 김 의원이 거부한 건 부적절해 보인다. 통상 국내선 항공기에 탑승할 때 탑승권과 신분증을 동시에 건네고 보안요원은 이 둘을 비교하며 신원 확인 절차를 거친다. 국회의원이라고 예외일 순 없다. 김 의원은 시민 입장에서 과도한 요구에 항의했다고 하지만, 시민들은 이를 과도히 여기지 않고 준수하고 있다. 더욱이 김 의원은 김포공항을 운영하는 한국공항공사를 감사하는 국토교통위 소속이다.
김 의원은 이번 일이 특권의식에서 비롯된 행동은 아니었는지 겸허히 반성해야 한다. 민주당 역시 이 사건을 공명정대하게 바라봐야 한다. 국민의 공복인 국회의원은 시민보다 더 낮은 자세로 임해야 한다. 국가기관을 감시한다고 해서 군림하려 들어선 안 된다. 특권의식에서 벗어나 시민의 눈높이에서, 시민의 마음으로 행동해야 한다. 김 의원과 민주당은 이번 일을 공직자의 자세를 가다듬는 계기로 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