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석연찮은 문화재 사랑’이 논란에 휩싸였다. <에스비에스>(SBS)는 15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여당 간사인 손 의원이 2017년 3월부터 전남 목포의 특정 구역에 조카, 남편이 운영하는 재단 등을 통해 건물 9채를 사들였고, 이 일대가 근대역사문화공간으로 지정돼 가격이 폭등했다고 보도했다. 투기 의혹이 있다는 것이다.
손 의원은 16일 문화재 보호 목적이라고 해명했다. 지난 대선 때 연 지역예술인 간담회를 계기로 주변 적산가옥의 역사·문화적 가치에 주목했고, 마구잡이 재개발을 막기 위해 사재를 털고 지인들을 설득해 건물을 매입했다는 것이다. 현재로선 투기 여부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석연찮은 점이 적지 않다. 손 의원은 문화재청을 담당하는 국회 문체위 여당 간사다. 적산가옥의 문화적 가치를 지키려면 관련 정책과 법률 제·개정을 통해 실천하는 게 국회의원의 옳은 행동이다. 스물세살 조카에게 억대의 돈을 증여하고 보좌관의 딸까지 동원해 건물을 매입한 것은 적절치 못했다.
근대역사문화공간 지정 정보를 알고 매입한 것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 손 의원은 1년6개월 전에 사들여 전혀 알 수 없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해당 상임위의 국회의원이니 의혹이 제기되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하다. 그가 지난해 김종진 문화재청장에게 근대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을 촉구한 사실 등이 알려지면서 의문이 커진 것도 마찬가지다. 손 의원의 해명을 받아들이더라도, 최소한 국회의원으로서 ‘이해 충돌’을 피하려는 노력을 하는 게 마땅했다. 그는 건물 매각을 통해 이익을 실현한 바 없고, 조카가 2년 전 구입한 8700만원짜리 집과 똑같은 집이 1억2천만원에 팔렸을 뿐이라고도 했다. 아직 이익이 실현되진 않았으나 가치가 상승했고, 조카에게 증여해 산 건물이 1년여 만에 4천만원 가까이 오른 점을 국민들이 어떻게 볼지 신중하게 생각하기 바란다.
민주당은 서둘러 당 차원의 진상조사를 약속했다. 민주당은 국민의 엄중한 시선을 직시해야 한다. 차명거래에 의한 부동산실명법 위반 의혹, 문화재지구 지정 경위나 예산 지원 목적으로 상임위 간사의 지위를 이용했는지 등을 투명하게 조사해 국민에게 밝혀야 한다. 공정한 조사를 위해 손 의원을 문체위에서 사보임하는 것도 적극 검토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