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5일 남북정상회담 추진을 공식화했다. 사흘 전 한-미 정상회담에서 ‘남북정상회담 조기 추진’ 의지를 밝힌 데 이어, 이번에는 한층 더 발언의 강도를 높여 “장소와 형식에 구애되지 않고” 만날 뜻이 있음을 분명히 했다. 남북정상회담에 대한 문 대통령 의지가 확고하게 표명된 이상, 정부는 4차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킬 방안을 다각도로 찾아야 한다.
4·11 한-미 정상회담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로 볼 때 남북정상회담을 해야 할 이유는 분명해졌다. 김 위원장이 ‘3차 북-미 정상회담을 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고, 트럼프 대통령도 김 위원장의 시정연설 전후로 정상회담을 할 뜻을 두차례나 밝혔다. 비핵화 방법론을 둘러싸고 북-미의 간극이 큰 것은 사실이지만,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발언에서 양자의 차이를 좁힐 가능성이 조금씩 드러나는 것도 사실이다. 북-미 정상의 뜻이 확인된 지금이야말로 남북정상회담을 추진할 적기라고 할 수 있다.
이제 관심은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위해 어떤 방식으로 남북 접촉을 할 것이냐로 모인다. 먼저 생각해볼 수 있는 방안이 특사를 평양에 파견하는 것이다. 4·11 한-미 정상회담 내용 중 공개되지 않은 것도 있을 터이니, 특사가 김 위원장을 만나 그 내용을 상세히 알리면서 정상회담 의사를 타진한다면 무리가 없을 것이다. 북한이 이제 막 체제 정비가 끝났기 때문에 특사를 받기엔 이르다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한-미 정상회담으로 만들어진 대화 계기가 약해질 수도 있으므로 너무 늦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다만 북한이 ‘중재자가 아니라 우리 편이 되라’고 요구하면서 조성된 미묘한 분위기를 감안해, 특사가 가더라도 비공개로 다녀오는 방안을 검토해볼 만하다.
북한도 문 대통령의 정상회담 추진 의지에 적극적으로 화답할 때다. 김 위원장이 북-미 협상과 관련해 ‘연말까지 미국의 용단을 기다려 볼 것’이라고 했는데, 이 말이 시간을 느긋하게 잡고 있다는 뜻은 아닐 것이다. 대화의 기회가 왔을 때 그 기회를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김 위원장은 시정연설에서 ‘북-미가 각자의 이해에 부합하는 건설적인 해법’을 찾을 필요성도 언급했다. 남북정상회담이 열린다면, 이런 문제들을 포함해 모든 것을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북한의 적극적인 응답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