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12.30 18:28 수정 : 2019.12.31 02:40

연말정산.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연말정산.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2019년 귀속 소득에 대한 연말정산부터, 지금까지 만 20살 이하 자녀에게 적용해온 자녀세액공제를 만 7살 이상 자녀로 조정했다. 내년 2월 연말정산부터 7살 미만은 1명당 연 15만원씩 받던 세액공제를 못 받게 된 것이다.

정부는 아동수당과 중복 지원에 해당돼 7살 미만은 자녀세액공제에서 제외했다고 설명한다. 지난해 9월 도입된 아동수당은 만 7살 미만 아동에게 1명당 매달 10만원씩 지급된다. 또 정부는 이미 2017년 소득세법 개정 때 이런 방침을 예고했다고 설명한다. 정부의 설명이 일리가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정부의 이런 결정이 세계에서 유례 없는 저출산 문제에 직면한 우리 현실과 맞는지 의문이다. 올해 3분기까지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0.93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낮다. 합계출산율이 1명에도 못 미치는 국가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또 통계청이 지난 26일 발표한 ‘2019년 10월 인구 동향’을 보면, 인구 자연증가율이 0%로 멈춰섰다. 사망자가 출생자보다 많아지는 ‘데드 크로스’가 임박한 것이다. 정부는 재앙 수준인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막대한 재정을 쏟아붓고 있다. 이런 마당에 7살 미만 자녀세액공제 제외는 정책 엇박자가 아닐 수 없다. 국민에게 ‘탁상행정’으로 비친다.

또 아동수당은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복지제도이고, 자녀세액공제는 근로자의 세금 부담 경감을 위한 조세제도다. 서로 출발점과 취지가 다르다는 점에서 중복 지원이라 하기도 어렵다. 유아 자녀를 둔 부모들 사이에서 “줬다 뺏을 걸 왜 줬냐” “조삼모사와 다를 게 없다”라는 불만이 나오는 이유다.

물론 자녀세액공제가 폐지된다고 출산 계획이 있던 부부가 출산을 포기하는 일은 아마 없을 것이다. 문제는 정부의 인식이다. 중복 지원이라는 좁은 시각에서만 정책을 편 탓에 국민 눈높이를 맞추지 못한 것이다. 전체를 보면서 지금 우리 사회가 당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가 무엇인지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결정하는 행정이 아쉽다.

광고

관련정보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