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가스 폭발로 추정되는 사고로 일가족 5명이 숨지는 등 참사가 발생한 강원도 동해시 ㅌ펜션 피해 현장이 27일 오전 폴리스 라인으로 촘촘히 가려져 있다. 연합뉴스
설날인 25일 강원도 동해의 한 펜션에서 가스가 폭발해 설날 모임을 하던 일가족 6명이 숨지는 참사가 벌어졌다. 6남매의 일가족이 최근 아들을 잃은 셋째를 위로하기 위해 이번 모임을 마련했다가 참변을 당했다고 하니, 안타까움이 더하다. 조사 결과 이번 사고는 사전에 몇 차례 충분히 피할 기회가 있었지만 당국과 업자의 무신경으로 이를 놓친 ‘인재’였음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언제까지 이렇게 ‘안전 불감증’에 무방비로 노출돼야 하는지 어처구니가 없다.
사고가 난 펜션은 2011년부터 동해시에 펜션 영업 신고도 하지 않은 채 8년 동안이나 버젓이 무허가로 운영됐지만 단속에 걸린 적이 한 번도 없다고 한다. 관할 당국의 무신경·무책임 행정에 혀를 내두를 지경이다.
당국은 뒤늦게 지난 연말에야 불법 영업을 알게 됐다. 소방당국이 지난해 11월 ‘화재 안전 특별조사’ 때 이 건물의 2층 다가구주택 부분이 펜션으로 불법 사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이에 따라 내부 점검을 하려 했으나 건물주의 거부로 무산됐다. 이에 소방당국은 지난해 12월 동해시에 이 건물의 위반 사항을 통보했다. 그러나 동해시는 단속 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시정 명령 등 적절한 행정절차를 밟지 않았다. 동해시가 이때 적극 나섰더라면 이번 참사는 없지 않았을까. 아쉬움이 남는다.
이번 사고는 고교생 3명의 목숨을 앗아간 ‘강릉 펜션 사고’ 이후 불과 1년 만이다. 당시 당국은 대대적인 숙박시설 점검을 약속했으나, 이번 사고로 ‘공약’이 된 셈이다. 동해시는 “이번 사고 펜션은 신고 시설이 아니어서 점검 때 누락됐다”고 해명했는데, 이는 무허가 시설이 당국의 관리·감독 사각지대에서 방치되고 있다고 자인하는 말로 들려 더 섬뜩하다. 이번에도 교훈을 얻지 못한다면 끔찍한 ‘인재’는 반복될 수밖에 없다. 당국은 철저한 재발방지책을 마련해 추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