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 확산에 대응해 30일 방역관계자들이 서울 성동구 마을버스 내부를 방역하고 있다. 공동사진취재단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 확진자가 30일 2명 더 나타나 모두 6명으로 늘었다. 무엇보다 국내 접촉자 가운데 확진자가 나오면서, 지역사회 2차 감염이 현실이 되었다. 비상한 시기일수록 정부 정책에 대한 신뢰는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불신은 혼란과 두려움을 낳고, 그 두려움은 다시 대응의 혼란이라는 악순환을 일으키기 마련이다. 그런 점에서 최근 며칠 새 정부의 신종 코로나 대응이 ‘엇박자’를 내는 양상은 우려스럽다.
정부의 초동대응은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했다. 하지만 사태가 확산·지속되면서 부처 간 엇갈린 목소리가 나오는 데서 정부의 조급증과 미숙함이 엿보인다. 중국 우한의 교민들을 태워올 전세기와 관련해 외교부는 28일 ‘의심증상자’는 탈 수 없다고 밝혔는데, 다음날 보건복지부 장관이 ‘유증상자’도 데려올 것이라고 말했다가 다시 반나절 만에 방침을 바꾼 건 대표적 사례다. 유증상자도 데려오는 게 옳다고 보지만, 중국 정부와 협의 등 거쳐야 할 절차가 한두 가지가 아닌데, ‘의지’가 앞서서 혼선을 부른 셈이다. 중국 정부의 정책 때문이라곤 하나, 애초 30·31일 낮에 각각 2대씩 4대의 전세기를 보내겠다던 방침이 일단 30일 밤 1대로 바뀐 것도 발표부터 서두른 탓이라고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교민들이 귀국한 뒤 2주 동안 지낼 임시 생활시설을 둘러싼 갈등은 착잡하다. 현지 주민들을 찾은 장차관과 지사 등에게 물병이나 달걀을 던지는 모습은 분명 바람직하지 못하다. 하지만 정부가 시설 선정을 먼저 주민과 협의하지 못했다면, 왜 사전 배포 자료에 명시됐던 천안이 빠지고 이 지역들로 바뀐 건지, 시설을 어떻게 차단해 주민 안전을 보장할 건지 등을 지역 선정 발표 때라도 상세히 알려야 했다.
네 번째 확진자가 국내에서 접촉한 사람의 수가 평택시 발표와 질병관리본부의 발표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개학 연기를 두고 서울시교육청과 교육부의 말이 서로 다른 것도 국민의 불안과 불신을 부르는 사례다.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의 선제적 노력을 깎아내릴 일은 아니지만, 이런 일이 반복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행정가보다 전문가들의 목소리에 먼저 귀 기울여야 한다.
2차 감염 사례가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만큼, 앞으로 우한 교민들이 들어온 이후 몇 주일이 고비가 될 것이다. 감염병 대처에서 가장 중요한 건 방역당국에 대한 국민의 신뢰라는 점을 되새길 때다. 더 이상의 부처 간 혼선이 있어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