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광훈 목사가 24일 오전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며 여유를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집회 등에서의 사전선거운동 혐의를 받아온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 대표회장 전광훈 목사가 결국 구속됐다. 지난달 2일 집시법 위반 등 혐의 구속영장이 기각됐으나 두번째 심사 끝에 24일 법원이 영장을 발부했다. 서울중앙지법 김동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총선을 앞두고 대규모 청중을 상대로 계속적인 사전선거운동을 한 사안으로 범죄 혐의가 소명되고 도주 우려도 있다”고 밝혔다. 전 목사가 그간 광화문 일대를 무대로 막말은 물론이고 대놓고 선거법과 집시법을 무시하며 우리 사회에 갈등과 소음을 유발해온 걸 고려하면 법의 심판이 오히려 늦은 감이 없지 않다.
이번에 구속영장이 발부된 것은 각종 집회와 좌담회에서 “내년 총선에서 자유우파 세력이 200석 이상 차지해야 한다” “황교안 대표 중심으로 똘똘 뭉쳐야 한다. 주변 사람들 연락해서 설득하라”는 등 대놓고 선거운동을 해왔기 때문이다. 서울시선관위가 전 목사 쪽에 여러차례 선거법 준수를 촉구하고 공명선거 협조 안내공문을 띄웠는데도 무시하자 지난해 12월 검찰에 고발했다.
지난해 10월에는 “청와대에서 계엄령을 준비하고 있다”며 청와대로의 ‘진격 투쟁’을 선동해 참가자들이 경찰에 각목을 휘두르는 등 집시법 위반 혐의도 받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집회금지 조처를 어기고 22일과 23일 연속 광화문 집회를 강행한 것은 물론, 한기총 후원금을 개인 이자를 갚는 데 쓰는 등 10여건의 혐의로도 수사를 받고 있다. “병 걸려 죽는 게 애국” “집회에 참석해야 병이 낫는다”거나 “하나님 까불면 나한테 죽어” 운운하는 등 목회자라 믿기 어려울 정도의 언행과 행태를 보이기도 했다. 과거 민주주의가 압살됐을 때 종교가 십자가를 지고 저항해 박수를 받았는데, 전 목사처럼 종교조직의 집회를 활용해 대놓고 정치행위를 일삼는 건 공감하기 어렵다.
이만희 신천지예수교회 총회장은 코로나19가 확산하는 초기에 방관하고 있다가 뒤늦게 25일에야 신도 명단 제공 용의를 밝혔다. 지난 18일 대구교회 신도인 31번 확진자가 나온 뒤 일주일 사이 온 나라가 소용돌이에 빠져드는데도 신천지 쪽은 명단 제공 등 적극적인 협조를 하지 않았다. 23일에야 대신 나선 대변인이 ‘피해자’ 운운한 것도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두 종교인의 비뚤어진 행태를 보며 ‘종교의 책임’을 다시 묻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