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서울 여의도 더불어민주당사에서 열린 고위당정협의회.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다수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대구시를 방문해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약속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부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 자격으로 대구에 상주하며 현장을 진두지휘했다. 대통령과 총리가 동시에 대구를 찾아 대구·경북의 위기 극복을 위해 국가적 역량을 모을 것을 다짐한 것이다.
이 와중에 더불어민주당이 “대구·경북에 최대한의 봉쇄정책을 시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가 논란이 일자 ‘지역 봉쇄가 아닌 방역망을 강화하겠다는 의미’라고 뒤늦게 해명하는 일이 벌어졌다. 한마디로 해당 지역 주민들의 불안한 정서를 고려하지 못한 경솔한 언행이다.
홍익표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당정청 협의회 뒤 “대구·경북은 통상의 차단 조치를 넘는 최대 봉쇄 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자칫 대구·경북도 중국 우한시처럼 출입을 봉쇄하고 이동을 제한하겠다는 취지로 읽힐 수 있는 대목이다. 문제가 되자 뒤늦게 민주당은 “지역 출입을 봉쇄한다는 의미가 아니”라고 해명에 나섰다. 급기야 문 대통령까지 나서 해명을 지시했고, 민주당 내부에선 “대구·경북 시민들의 마음에 또 하나의 비수를 꽂았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비록 ‘의학적 봉쇄’라는 의미였다지만 오해를 사기에 충분한 언행이었다.
위중한 상황일수록 책임있는 인사들은 국민 마음을 한데 모을 수 있도록 신중하게 대처해야 한다. 대통령과 총리가 대구를 찾고, 당정청이 행정력을 총동원해 위기 극복을 약속한 마당에 무책임한 발언으로 그 취지가 퇴색한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해당 발언이 정정됐다고는 하지만 지역 사회는 고립감과 불안감에 휩싸일 가능성이 높다. 국민 마음을 흩트리는 이런 실수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강도 높은 조치가 뒤따라야 한다.
대구·경북의 코로나19 극복은 이제 가장 중요한 국가적 과제가 됐다. 문 대통령은 “이번주 안으로 확진자 증가세에 뚜렷한 변곡점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극복이 중대 기로에 선 만큼 국민 역량을 모아야 할 때다. 마침 전국 각지에서 방역물품과 생필품이 대구·경북에 답지하고, 의료진의 자원봉사도 이어지고 있다. 에스엔에스(SNS)에선 “#힘내라 대구·경북”이란 해시태그를 단 응원 글들이 게시·공유되고 있다. 정부가 앞장서고 대구·경북 주민을 비롯한 전 국민이 함께 힘을 모아 현 위기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해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