읍·면 단위 우체국에서 공적 마스크를 판매하기 시작한 28일 오후 파주시 문산읍 문산우체국에서 한 시민이 마스크를 사고 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2300명을 넘어선 가운데 병상 부족과 중증도에 따른 환자 구분과 방침 마련이 절박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아직 대구 신천지교회 신자와 교육생 중 3분의 1 남짓만 증상 여부가 확인된 터라 전체 규모는 당분간 늘 수밖에 없다. 전파 차단 역시 소홀히 할 순 없지만, 이런 상황에선 건강 피해 최소화로 무게중심을 좀더 옮길 때로 보인다. 입원을 대기하다가 숨진 13번째 사망자와 같은 안타까운 일이 반복되어선 안 된다.
최근 며칠 대구지역 병상 부족에 대한 우려는 지속적으로 제기돼왔다. 13번째 사망자가 고령이고 기저질환자였다고 하는데, 아직 증상이 없다고 대기자로 둔 것은 뼈아픈 실책으로 보인다. 우선은 의료진이 나이와 평소 질환 등을 고려해 환자의 중증도를 직접 판단하도록 시스템을 갖춰야 할 것이다. 자가격리 중 숨진 14번째 사망자는 사후에 확진 판정을 받았다는데 의심 단계에서 조처할 수는 없었는지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정부는 28일 대구시 상급 병실이 부족할 경우 다른 시도로 이송되도록 모든 지자체에 시행지침을 보냈다. 각 지자체의 협조가 절실하다. 시도마다 의료시설 수준 등 상황이 다른 만큼, 일률적 배분이 아니라 이를 면밀히 따진 뒤 시행하는 것 또한 중요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방역당국은 경증환자 재택진료 방안까지 열어놓고, 환자를 5가지 지표로 4단계로 나누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 했는데 논의 속도를 좀더 높이길 바란다.
국외에서도 ‘팬데믹’(대유행)이 거론되는 상황에서, 아직 국내에선 언제가 절정일지 예측이 힘들다. 다만 확진자 비율이 높은 신천지교회 신자의 상황이 분수령이 될 가능성은 크다. 일부 신천지 신자들이 낙인찍히는 것을 두려워해 숨거나 인권 피해를 당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수록 나서고 협조하는 게 시민의 의무란 걸 알아야 한다.
코로나19는 증상이 가벼운 초기 사나흘간 전파력이 매우 높기에 개인의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과 집단행사 참여 자제가 매우 중요하다. 천주교, 불교가 일찍 미사와 법회 중단을 선언한 데 비해 일부 대형 교회들이 이번 주말 예배를 고집하다가 잇따라 취소하고 있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세계 50여개 국가가 한국에서 오는 이의 입국절차를 강화하거나 제한하는 상황에 이른 건 안타깝고 화가 나는 게 사실이다. 과잉 조처에 대해선 정부가 외교 경로로 항의해야 한다.
이날 한국과 중국 교육부가 상호 유학생 입국 자제 권고와 학생 피해 최소화에 합의했는데, 국가간 협력 또한 병행해야 한다. 분명한 건 정쟁과 분열보다 함께 신뢰하고 협조할 때 위기 극복은 더 빨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