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청와대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논의를 위한 경제주체 원탁회의에 입장하면서 참석자들과 악수를 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코로나19 여파로 금융위기 때보다 경제 위기가 깊고 길 것이라는 전망이 커지는 가운데, 경제주체들의 협력과 연대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런 점에서 18일 청와대에서 열린 주요 경제주체 원탁회의는 의미가 있다. 앞으로 지속적이고 실효성 있는 논의를 위해 대화 채널 상설화 등을 검토하기 바란다.
머리발언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정부의 힘만으론 부족하다”며 경제 핵심주체들이 적극 참여하는 범국가적 연대의 필요성을 호소했다. 실제 정부가 아무리 대책을 내놓아도 경영계와 노동계, 금융계, 소비자 등 경제주체들의 협력 없이는 효과가 반감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원탁회의엔 대한상의, 경총, 중기중앙회, 중견기업연합회, 한국무역협회, 소상공인연합회 등 경제단체 대표 및 금융권과 소비자단체 대표와 함께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과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도 자리했다. 양대 노총 위원장이 범경제주체들과 자리를 함께한 건 2018년 3월 제5차 일자리위원회 이후 2년 만이다.
문 대통령은 양대 노총 위원장과 따로 오찬을 하며 노동계에 협조와 대화 참여를 당부했다고 한다.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비정규직 등 사회적 약자들에게 고통이 집중되는 현실을 타개하려면, 노동계의 논의 참여가 절실하다는 점에서 노동계도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 민주노총은 최근 대규모 집회 자제 등을 선언한 데 이어 추후 대통령 주재 비상경제회의에도 참여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는데 빠른 결정을 내리길 기대한다.
관건은 이날도 문 대통령이 몇번씩 강조했듯 ‘속도감 있는 정책’ 추진이다. 첫 자리라는 한계가 있지만 이날 만남에서 경영계와 노동계가 결이 다른 자신들의 주장만 주로 내놓은 것은 아쉽다. 작은 이견에 연연해선 안 된다. 노동계와 경영계가 현장의 애로사항을 충분히 전달하되, 한발씩 양보를 통해 실효성 있는 경제대책을 마련하고 빠르게 집행하는 게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