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청와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통화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제공. 2020.3.24
주요 20개국(G20) 정상들의 화상회의가 26일 열린다. 이번 정상회의는 코로나19의 전례 없는 세계적 확산이 중대 고비를 맞고 있는 시점에 열리는 것이어서 특히 주목된다. 감염병의 방역과 치료, 감염병 창궐에 따른 전세계적 경제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국제 협력과 공조 체제가 만들어지는 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지난해 말 중국에서 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된 이후 각국의 감염병 대책은 대체로 일방적인 외국인 입국금지, 의료장비 반출 금지 등 ‘나부터 살고 보자’는 식의 ‘각자도생’ 방식이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은 한때 감염병 발병과 확산의 책임까지 서로 떠넘기며 극심한 갈등을 빚었다.
그러나 바이러스엔 국경이 없다. 효과적인 방역을 위해선 국제사회가 서로 협력하고 공동 대응하는 게 필수다. 전세계가 긴밀하게 연결된 글로벌 시대에 ‘우리만 청정국가로 남겠다’는 건 환상에 가깝기 때문이다. 코로나19의 전례 없는 감염력에 비춰볼 때 지구상 어느 곳에든 바이러스가 남아 있다면 다른 나라들도 안전하다고 안심하기 어렵다. ‘지구촌 공동체’ 정신에서 함께 협력해나가야 한다.
지금 전세계가 감염병 확산으로 받는 고통은 이중적이다. 많은 이가 건강과 생명에 위협을 받고 있을 뿐 아니라, 교역과 투자, 생산활동 등이 멈춰 서면서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이번 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서는 방역을 위해 감염병의 외부 유입을 차단하면서 동시에 국제간 경제활동을 합리적으로 보장해주는 균형점이 모색돼야 한다. 또 방역 시스템과 임상 경험의 공유, 신속한 백신과 치료약 개발 등을 위한 국제 협력, 경제 충격을 최소화할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조율도 논의될 필요가 있다.
주요 20개국 정상회의는 지난 13일 문재인 대통령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처음 제안한 것이다. 한국은 이번 감염병 방역에서 선도적 위치에 있다는 국제 평가를 받고 있다. 많은 나라가 한국의 코로나19 방역 경험을 주시하고 있다고 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 문 대통령에게 의료장비 지원을 요청한 건 한국의 높은 위상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대목이다. 문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의에서 한국의 방역 경험과 사례를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발전시켜가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