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도내 모든 유흥시설에 집합금지 행정명령을 발표한 10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의 한 클럽 앞에서 보건소 관계자가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시내 클럽에서 시작된 집단감염 확진자가 주말을 거치면서 74명(10일 저녁 9시 기준)으로 늘었다. 이 가운데 70명이 인구밀도가 높은 수도권 거주자이고 대부분 활동성 높은 젊은층이어서 2차 전파의 우려도 크다. 비상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선 확진자가 나온 유흥업소 방문자들의 감염 여부 확인과 격리가 중요한데, 출입자 명단이 부정확해 당국의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 문제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4월 말부터 5월6일까지 이태원 소재 클럽 방문자들에게 외출 자제와 보건소 문의 등을 권고했다. 그동안 코로나19 극복 과정에서 보여준 높은 시민의식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해당 클럽 방문자들의 성적 지향을 부각시키는 따위의 낙인찍기와 혐오 조장 행위에도 강력히 대처해야 한다. 그 자체로 반인권적인데다 방역을 방해함으로써 사회 전체를 위험에 빠뜨리는 행태이기 때문이다. 확진자의 사생활 보호에도 만전을 기할 방안을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가 관내 유흥시설에 집합금지 행정명령을 내린 것은 늦은 감이 있지만 적절한 조처다. 클럽과 같은 시설은 애초부터 상대적으로 강한 규제가 필요했다. 코로나19 대응이 생활방역으로 전환되기는 했어도 필요한 부분에는 방역지침을 차등적으로 강화하는 ‘맞춤형 정책’이 시급하다. 유흥시설 이외에도 밀폐도, 밀집도, 거리두기 수칙 준수 여부 등 위험 요소를 따져 방역에 허점이 될 만한 곳에 대해선 대응 수위를 높여야 한다. 지자체별로도 적극적인 판단이 요구된다.
이번 집단감염이 확산되면서 생활방역 전환이나 순차적 등교개학을 재고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당국은 위험도 평가와 대응 방향을 논의 중이라고 한다. 시설·지역별로 차등화한 대책을 서두르되, 필요한 상황이 되면 전면적인 거리두기 재강화도 때를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