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한남3구역 재개발 조합이 강남구청의 집함금지 행정명령에도 시공자 선정을 위한 조합원 임시총회를 강행했다. 조합원들이 총회장에 들어가기 위해 줄을 길게 늘어서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감염증의 확산세가 수도권 너머로도 확대되고 있는 게 예사롭지 않다. 대전발 감염이 전북 전주와 광주로 번졌고, 충남·강원·대구 등에서도 지역감염 사례가 다시 나타났다. 방역당국은 정례브리핑에서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집단감염이 생겨나고 있으며, 수도권 유행의 연결 고리가 전국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기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정부가 21일 방역수칙을 의무적으로 지켜야 하는 ‘고위험 시설’에 방문판매업체·물류센터·대형학원·뷔페식당을 추가한 것도 이런 위기감을 반영한 조처로 보인다. 수도권 중심의 감염이 전국으로 퍼지는 게 아닌지 심히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단지 고위험 시설을 부분적으로 확대하는 것만으로 감염 확산을 막아낼 수 있을지 의문이다. 때를 놓치지 않도록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방역망 강화를 고민해야 할 것이다.
위중한 코로나 확산세와 달리, 우리의 ‘생활 속 방역’은 갈수록 느슨해지는 게 아닌지 걱정이 든다. 엊그제 서울 광진구에서 마스크 착용을 요구한 버스 기사와 승객을 폭행한 50대가 구속됐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5월26일)한 이후, 곳곳에서 이와 유사한 ‘마스크 실랑이’가 빚어지고 있다고 한다. 법적 처벌 여부를 떠나 공동체 전체와의 약속을 깨는 위험하고 어리석은 행동이 아닐 수 없다.
서울 한남3구역 재개발 조합은 강남구청의 집합금지 행정명령을 어기고 강남 코엑스에서 2천명 이상이 참가한 조합원 총회를 결국 강행했다. 시공사 선정을 더는 미룰 수 없었다는데, 비슷한 처지의 다른 조합이 수두룩한 상황을 고려하면 이기적인 행동으로 비칠 수밖에 없다. 강남구청은 예고한 대로 조합과 총회 참석 조합원에 대한 법적 조처에 즉시 나서는 게 마땅하다.
지금 시민들은 ‘강화된 생활방역수칙’에 따라 일상적인 사회·경제적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시민들이 찜통더위에도 마스크를 쓰고 거리두기의 불편함을 감수하는 것은, 다름 아닌 우리의 일상을 지키기 위해서다. 덕분에 학교는 등교수업을 재개했고, 동네 소상공인들은 가게 문을 열 수 있었다. 과태료나 형사처벌이 무서워서가 아니라 ‘방역이 곧 경제’이자 우리의 삶을 지키는 길이라는 공감대가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일상 속 방역수칙이 하나둘 무너지고 느슨해지면 언제 다시 ‘고강도 거리두기’로 되돌아갈지 모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