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충북 청주 질병관리본부 긴급상황센터에서 정은경 초대 질병관리청장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문 대통령과 정 청장이 서로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11일에도 신규 확진자가 176명이나 나왔다. 벌써 9일째 100명대다. 좀체 두자릿수로 내려가지 않고 있다. 오히려 이틀 연속 확진자가 늘었다. 사회적 거리두기 ‘준3단계’(2.5단계)를 시행한 지 13일째인 수도권에서는 다시 100명을 넘어섰다. 지금이 거리두기 강화 조처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던 때임을 고려하면, 상황이 기대만큼 나아지지 못했다는 뜻이다.
강력한 거리두기에도 그 효과가 제한적이라면 방역당국이 놓친 변수가 있다고 봐야 한다. 방역망 바깥의 무증상 감염자가 추정보다 두껍게 쌓여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문제는 방역에서 큰 난점 가운데 하나다. 그렇다고 비관적으로만 볼 일은 아니다. 한때 400명대까지 치솟았던 신규 확진자가 조기에 100명대로 떨어진 것만 해도 의미 있는 성과다.
또한 방역당국은 과거 대구·경북 지역에서도 확진자가 감소하다가 며칠 동안 일시적으로 증가한 뒤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지금의 추세가 본격적인 안정세로 들어서기 전의 ‘정중동’ 상태일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국민 한사람 한사람이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키지 않는 한 이런 시나리오가 현실화하기를 바라는 건 헛된 희망이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수도권의 거리두기 완화 여부와 관련해 “하루 이틀 상황을 좀 더 보면서 방향을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준3단계 종료일인 13일까지는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지금처럼 중대한 고빗사위에 방역 수위를 조정하는 것은 그만큼 어려운 문제다. 신중에 신중을 거듭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나 강력한 거리두기가 길어짐에 따라 영세 자영업자 등이 입는 피해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이날 브리핑에서 ‘제3의 방법’을 선택할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눈길을 끈다. 방역 효과를 최대화하면서도 ‘중위험시설’ 이용의 불편을 줄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대책이 치밀하다면 방역도 현실에 맞게 유연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 일단 준3단계를 연장했다가 다음주 중에 적정 수준으로 완화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어느 경우든, 이번 주말에 확실한 변곡점을 만드는 게 관건이다. 짧고도 집중력 높은 생활방역을 실천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