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 당선자(가운데)가 24일 서울 정동 민주노총 위원장실에서 당선증을 전달받은 뒤 윤택근 수석부위원장 당선자(왼쪽), 전종덕 사무총장 당선자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24일 양경수 경기지역본부장을 차기 위원장으로 선출했다. 이로써 지난 7월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합의안’이 대의원대회에서 부결돼 김명환 지도부가 사퇴한 뒤, 비상체제로 운영돼온 조직이 새해부터 정상화된다. 민주노총은 2019년 조합원 수에서 한국노총을 앞질러 ‘제1노총’이 됐다. 이름과 위상에 걸맞게 100만 소속 조합원뿐 아니라 2500만에 이르는 모든 일하는 사람들의 든든한 울타리가 되어주기를 바란다.
양경수 당선인은 첫 비정규직 출신 위원장이기도 하다. 정규직 노동이 오히려 예외처럼 간주되고 있는 ‘불안정 노동’의 시대임을 고려하면 그 의미가 작지 않다. 비정규직의 열악한 현실을 몸으로 겪은 것이 급변하는 노동환경에 대응할 최적의 방안을 마련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양 당선인은 민주노총 내부 최대 정파인 ‘전국회의’의 지지를 받아 낙승했으나, 당선과 동시에 정파적 이해를 넘어서 모든 조합원의 대표가 됐음을 누구보다 잘 알 거라고 본다.
양 당선인은 당선 소감에서 “사상 처음으로 제1노총이 준비된 총파업을 조직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며 “내년 11월 ‘전태일 총파업’을 조직하겠다”고 밝혔다. 파업은 노동자에게 가장 핵심적인 투쟁 수단이다. 준비된 총파업을 천명한 것에 판단부터 앞세우는 건 적절치 않다. 오히려 ‘무늬만 총파업’을 남발해온 관행이 민주노총의 대중성에 미친 부정적 영향을 깊이 성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총파업 자체가 목적이 될 수는 없다. 나아가, 교섭도 파업 못지않은 강력한 투쟁 수단이다. ‘사회적 대화’는 우리 사회에서 가장 큰 단위의 교섭이자, 일하는 사람들의 권리를 강화하는 큰 틀의 변화를 이끌기 위한 투쟁이다. 오늘날 불안정 노동은 특수고용 노동과 플랫폼 노동 등으로 무분별하게 퍼지고 있다. 사안별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뚜렷하다. 처음부터 사회적 대화를 백안시하지 말고, 대중 조직력을 크게 강화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한 ‘큰 교섭’에도 적극 나서기 바란다.
민주노총에 대한 여론이 우호적이지 않다는 건 새 지도부도 모르지 않을 거라고 본다. 경제계와 일부 언론이 민주노총을 매도해온 탓이 크지만, 이와 별개로 상당수 일하는 청년들의 인식이 곱지 않은 것도 현실이다. 하지만 미래의 다수인 그들에게도 민주노총은 울타리가 돼야 한다. 그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현명한 전략이 절실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