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가 4일 국회에서 열린 2021년 새해 첫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더불어민주당이 이명박·박근혜 두 전직 대통령 사면의 전제조건으로 “반성과 사과”를 제시한 데 대해, 국민의힘 내부에서 ‘억울한 옥살이에 무슨 사과와 반성이냐’는 반발이 나오고 있다. “반성은 잡아 가둔 사람이 하라”는 적반하장식 주장을 하는가 하면, 주호영 원내대표는 ‘정치보복’ 프레임에 힘을 싣는 듯한 발언을 했다.
두 전직 대통령 사건은 이미 국민의 준엄한 심판을 받고 법적 판단 또한 사실상 끝난 문제다. 이런 사안조차 정치보복으로 몰아가며 반성을 거부하고 있으니 기가 막힐 따름이다. 그렇다면 불과 보름여 전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강도 높은 사과를 한 건 도대체 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친이명박계 좌장으로 통하는 이재오 국민의힘 상임고문은 4일 <시비에스>(CBS) 라디오에 나와 “당사자들은 지금 ‘그동안 2년, 3년 감옥 산 것만 해도 억울한데, 억울한 정치보복으로 잡혀갔는데 (사과와 반성이) 무슨 소리냐’ 이런 입장 아닌가”라고 말했다. 이 상임고문은 <문화방송>(MBC) 라디오에서는 “잡아간 사람이 미안하다고 반성해야지 감옥 간 사람이 뭘 반성을 하느냐”고도 했다. 4선인 김기현 의원도 <시비에스> 라디오에 나와 “이 사건은 정치보복 재판이다. 이걸 사과를 하고 반성을 하라면 세상에 얼마나 모욕적인 발언이냐”고 말했다.
지도부도 이런 무분별한 반발을 자제시키기는커녕 비슷한 목소리를 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당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정치적인 재판에서, 두분 다 억울한 점이 있다고 주장하는 이런 사건에서 사과와 반성을 요구한다는 것은 사면을 하지 않겠다는 말”이라고 주장했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달 15일 “대통령의 잘못은 곧 집권당의 잘못이다. 역사와 국민 앞에 큰 죄를 저질렀다”고 한 건 그저 ‘립서비스’였다는 말인가? 두 전직 대통령의 과오에 대한 비상식적인 감싸기를 당장 멈추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