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서울 중구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시민들이 고용안정지원금을 신청하고 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취업자가 1년 전보다 100만명 가깝게 줄어든 새해 첫달의 고용 성적표는 쇼크 수준이다. 코로나의 직격탄을 맞은 서비스업과 자영업의 고용이 크게 줄어든 반면, 수출 대기업 중심의 제조업은 고용 감소가 완화되면서 양극화도 더 심해졌다. 정부는 일자리를 늘리고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데 총력전을 펴야 한다. 민간에서도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고용 확대 노력을 다해야 한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1월 고용 동향’을 보면, 취업자가 2581만8천명으로 한 해 전보다 98만2천명 줄었다. 외환위기인 1998년 12월 이후 최악이다. 실업자도 157만명으로 치솟았다. 1999년 6월 통계 작성 이후 최대다. 실업률도 5.7%로, 1999년 8월 이후 가장 높다. 실제 상황은 수치보다 더 심각하다고 봐야 한다. 실업자 집계에서 빠지는 비경제활동인구 중 ‘그냥 쉰 사람’과 원하는 일자리가 없어 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구직단념자’를 합치면 실업자가 무려 349만명이다. 1년 전보다 61만명 이상 늘어, 통계 작성 이후 최대다.
고용이 최악인 것은 코로나 3차 유행으로 인한 거리두기 강화의 영향이 크다. 실제 숙박·음식점업, 도·소매업 등 대면서비스업이 직격탄을 맞았다. 전체 서비스업에서 사라진 일자리는 90만명에 가깝다.
반면 대기업의 수출 회복으로 제조업은 일자리 감소가 4만6천명으로, 한달 전에 비해 절반 이하로 줄었다. 임금근로자 중에서 임시·일용직이 79만5천명 줄어든 반면, 상용직은 3만6천명 늘었다. 자영업도 인건비 부담을 견디지 못한 자영업자들이 직원들을 내보내면서 고용원 있는 업체가 15만8천명 줄었다.
코로나 방역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단기간에 고용 사정이 나아지기는 어렵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이날 관계장관회의에서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1분기 중에 만들기로 한 일자리 90여만개를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고용 취약계층과 자영업자 지원 대책도 더 서둘러야 할 것이다.
고용 충격에 대처하려면 정부의 힘만으로는 역부족이다. 실적이 좋은 대기업을 중심으로 경제계의 자발적인 협조가 절실하다. 최근 삼성·에스케이 등 대기업의 성과급을 두고 논란이 일었다. 투명한 성과급 기준과 실적에 걸맞은 공정한 지급을 요구하는 것은 문제 삼을 일이 아니다. 다만 코로나 이후 고용시장 양극화 심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는 점도 노사 모두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