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장을 맡은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중앙방역대책본부장)이 15일 오후 충북 청주시 질병관리청에서 ‘코로나19 2~3월 예방접종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질병관리청이 26일 시작되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에서 65살 이상 고령층은 당분간 제외하기로 했다. 현재 미국에서 진행 중인 3상 임상시험을 비롯해 효과 입증자료를 추가 검토한 뒤 다음달 말께 접종 방안을 다시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고령층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의 효과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신중한 결정이라고 본다. 다만 첫 접종부터 계획이 어그러지면서 국민 신뢰에 금이 가는 것은 피할 수 없게 됐다. 또 11월까지 집단면역을 형성해 올해 안에 국민들의 일상을 회복하겠다는 정부의 목표가 차질을 빚는 건 아닌지 우려된다.
앞서 지난달 말 정부는 1차 백신 접종 대상으로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의 입소자와 종사자 78만명을 정했으나, 65살 이상 50만여명이 제외됨에 따라 27만여명만 접종을 하게 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달 초 3차례에 걸쳐 아스트라제네카 고령층 접종에 대한 전문가 논의를 거쳤지만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현장에서 의사가 신중하게 결정하라고 권고해 무책임하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또 고령층에 대한 접종 보류가 불가피하다고 해도 정부가 백신 확보 과정에서 드러낸 문제점까지 덮을 수는 없다. 지난해 주요 국가들 사이에서 백신 확보 경쟁이 치열했을 때, 우리 정부는 국내 생산이 예정된 아스트라제네카 공급에만 지나치게 의존했다. 고령층에 대한 임상시험 자료를 일찍 내놓은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 등을 서둘러 골고루 확보했더라면 지금 같은 혼선은 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 무거운 책임감을 가져야 할 것이다.
지금 가장 시급한 일은 백신 접종에서 제외된 고령층을 감염 위험에서 보호하는 것이다. 아스트라제네카뿐 아니라 다른 종류의 백신도 대안으로 검토해 고령층이 장기간 감염의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고령층이 입원 중이거나 거주하고 있는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에 대한 방역 관리를 지금보다 훨씬 더 강화하는 건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이런 점에서 의료진뿐 아니라 요양보호사나 간병인, 청소노동자 등을 접종 대상에서 빠트리지 말아야 한다.
정부는 이번 일을 교훈 삼아 백신 확보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모더나와 화이자도 원료 수급 문제 등으로 공급 차질에 대한 우려가 외국에서 나오고 있다. 최악의 상황까지 고려한 대응 계획을 시나리오별로 치밀하게 만들고 빈틈없이 실행해 더는 시행착오를 반복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