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미디어·언론 상생 태스크포스(TF) 소속 위원들이 11일 오전 국회에서 신문 부수 부풀리기 의혹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위원들은 문체부의 부수인증제도 개혁방안 발표와 국가보조금 등 부당 수령에 대한 철저한 조사 및 환수를 촉구했다. 공동취재사진
신문사들의 실제 유료부수가 한국에이비시(ABC)협회를 통해 발표하는 수치보다 크게 적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6일 문화체육관광부가 3개 전국일간지 표본 지국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평균 유가율(발송부수 대비 유료부수 비율)은 63%로 협회가 공시한 2019년분 유가율 79~96%와 큰 차이를 보였다. 신문사가 지국에 보내는 신문 10부 중 4부는 구독료를 제대로 다 받지 못하는데도 유료부수인 것처럼 발표한 것이다. 에이비시협회의 인증부수는 정부 광고나 지역신문 지원 등의 근거로 쓰여 정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부수인증 시스템을 포함해 신문 유통시장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일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광고주의 합리적 광고 집행을 돕기 위한 에이비시협회의 부수공사 결과가 정확하지 않다는 것은 그동안 공공연한 비밀이었다. 신문사들은 유리한 인증을 받기 위해 팔리지도 않을 신문을 지국에 밀어내고 할인판매, 세트판매 등의 방식으로 유가 인증부수를 늘려왔다. 그렇게 해도 남는 신문은 지국에서 폐지상으로 직행하는 장면이 언론 전문매체를 통해 여러차례 보도됐다. 신문의 구독률·열독률이 급감하는 상황에서 유료부수는 몇년째 그대로이다 보니, 기업 광고 담당자들 사이에서는 공시된 부수의 신뢰도가 낮아진 지 오래다. 결국 협회 내부에서 폭로가 나오고 협회에 대한 검사·감독권을 가진 문체부가 조사에 나선 것이다.
인증제도가 신뢰를 잃게 된 데는 구조적인 문제도 있다. 인증을 받는 언론사가 협회 이사회에서 강한 발언권을 행사하고 협회 운영비도 대부분 분담하다 보니 유료부수 인정 기준이 차츰 느슨해졌다. 구독료 정가의 50%만 받아도, 무료로 6개월을 보고 구독료를 내도 1부로 인정받았다. 부수 점검을 나가는 표본 지국 선정을 협회에서 한 사람이 단독으로 결정하는 등 인증 절차도 객관적으로 진행되지 않은 사실이 이번 조사에서 확인됐다.
신문의 유료부수 부풀리기는 신뢰를 생명으로 하는 언론사로서 독자와 시민에게 정직하지 못한 일이다. 시민단체와 국회는 신문 부수 부풀리기의 진상 규명과 제도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문체부도 에이비시협회의 지배구조 개선 등을 촉구하며 3곳 외에 다른 신문사들도 조사할 방침이다. 부수인증 제도의 신뢰성, 객관성, 투명성을 높이는 작업에 <한겨레>를 포함한 모든 신문사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