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자인 이재명 경기지사(오른쪽 부터)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박용진 의원이 6일 서울 마포구 MBC 방송센터에서 합동 토론회를 준비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여야 대선 주자들의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중도 표심 공략을 위한 여야의 중원 전략이 주목된다. 여야의 ‘일대일 대선 구도’가 명확해짐에 따라 중도층의 캐스팅보트 비중이 커진데다, 각 후보들의 지지층 확장 전략이 맞물린 결과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중 가장 공격적인 중원 전략을 펴는 이는 박용진 의원이다. 박 의원은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법인세·소득세 감세를 공약했다. 감세 공약은 대표적으로 보수정당의 공약이다. 적극적 재정정책을 주문하며 궁극적으로 증세를 지향하는 민주당 기류를 거스른다. 법인세 감세를 통해 기업 투자가 늘면 노동자 임금 상승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이 가능하다는 박 의원의 주장은 보수정당이 내세우는 감세 이유와 거의 같다.
또 ‘정예 강군’ 육성 등 대북 태세와 안보를 강조하는 것도 중원 확장 전략으로 비친다. 지난 6일 경선 예비후보 토론회에서 박 의원은 “북이 우리 대통령을 욕하거나 우리 국민들 자산이라 할 수 있는 개성연락사무소를 폭파했을 때는 강력하게 비판하고 대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여권 선두 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는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자신의 ‘간판 정책’인 기본소득을 뒤로 미루고 보수정당의 트레이드마크인 ‘성장’을 앞세웠다. 이 지사는 “규제 합리화”도 강조했다. ‘강성 재벌해체론자’ 이미지를 불식하고 시장경제를 살리는 행정가 면모를 부각하려는 것이다.
이처럼 여당 대선 주자들이 우클릭에 나선다면, 야권에서는 좌클릭을 통한 입지 확보 전략이 눈에 띈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세종시 수도 이전’을 자신의 공약으로 내걸었다. 하 의원은 “보수의 노무현이 되겠다”며 “청와대와 국회를 세종시로 옮겨 노무현 전 대통령의 좌절된 꿈을 완성하겠다”고 했다. 노무현 정부 시절부터 야당이 20년 가까이 반대했던 ‘수도 이전’을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로 나서면서 선제적으로 들고나온 것이다. 충청권 표심까지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반면, 당내 대선 후보 자리부터 먼저 확보하기 위해 지지층 결집을 우선시하는 후보들도 있다. 정치참여 선언 뒤, 연일 강경 보수 목소리로 우클릭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대표적이다. 또 여권 ‘2위 주자’인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는 ‘토지공개념 3법’ 발의 약속 등 진보개혁 색채를 강화했다.
김정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정치학)는 “정권을 잡을 확률이 한쪽으로 기울어 있지 않다”며 “중도를 움직여야 하는 건 표를 얻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결국 보수·진보 정당 할 것 없이 정책적으로 큰 차이 없는 상황에서 싸우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성민 정치컨설팅그룹 ‘민’ 대표도 “자기 생각으로 국민 50% 이상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면 바꿀 이유가 없다”며 “하지만 대선에선 중도 표심을 못 얻으면 이길 수 없다. 외연을 확장하려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