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정의당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 결과 발표 및 보고대회에서 대선 경선 결과 1, 2위를 차지한 심상정, 이정미 후보가 함께 손을 맞잡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정의당 대선후보 결선투표가 7일 시작됐다. 심상정 의원은 ‘본선 경쟁력’을, 이정미 전 대표는 ‘세대 교체’를 앞세워 당원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전날 열린 경선에서 1위를 했지만, 과반 득표에 실패(46.42%)한 심 의원은 본선 경쟁력을 부각한다. 진보정당 1세대 간판 정치인으로 2017년 대선에서 진보정당 최고 성적(6.17% 득표)을 거둔 자신이 거대 양당 사이에서 정의당의 존재감을 드러내는 데 적임이라는 것이다. 심 의원실 관계자는 “대선은 왜 정의당이 필요한지 확인받을 순간이다. 결선에서 (당원들이) 본선 경쟁력을 따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37.9%의 득표율로 2위에 오르며 승부를 결선투표까지 연장한 이 전 대표는 세대 교체론을 내세운다. 변화를 향한 열망이 ‘심상정 대세론’에 균열을 낸 만큼 결선에서도 ‘이변’을 기대한다. 각각 3, 4위를 한 김윤기 전 부대표(12.37%), 황순식 경기도당위원장(3.3%) 지지표가 ‘새로운 리더십’을 내건 이 전 대표 쪽으로 모이면 승산이 있다고 여긴다. 이 전 대표는 “(결선투표의) 본질은 변화의 열망을 누가 수렴하는지다. 심 의원에게만 의존해선 안 된다는 의지를 받아안겠다”고 말했다.
정의당은 결선투표를 흥행시키려고 분주하다. 당은 전날 경선에서 55.58%에 그친 당원 투표율을 높여야 국민적 관심도 끌 수 있다고 보고 적극적인 투표 참여를 독려했다. 심 의원과 이 전 대표 사이의 텔레비전 맞짱 토론도 추진한다. 당 관계자는 “토론회가 당원들의 투표를 독려하는 효과도 있어서 방송국에 토론회 개최를 타진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의당은 당원들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자동응답·우편 투표를 거쳐 12일 대선후보를 확정한다.
조윤영 기자
jy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