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 국정운영 기대" "당적포기는 야당의 무리한 주장"
열린우리당은 24일 노무현 대통령이 한명숙 의원을 새 총리로 지명하자, 마치 기다렸다는 듯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우리당은 한명숙 지명자가 총리직을 수행할 능력과 자질이 충분하다고 높이 평가하면서 향후 안정적 국정 운영에 대한 기대감을 표시했다.
특히 우리당은 사상 첫 여성 총리 탄생에 대해 내심 기대를 걸어왔던 만큼 노 대통령의 한명숙 총리 지명을 당의 뜻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하는 등 환영하는 기색이 역력했다.
정동영 의장은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대한민국에서 첫 여성 총리가 탄생해서 기쁘고 환영한다"고 밝혔다.
우상호(禹相虎) 대변인도 "한명숙 의원의 총리 지명을 국민과 함께 환영한다"며 "최초의 여성 총리 탄생은 역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고 국민 화합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우 대변인은 이어 "한 지명자는 합리적이고 온화한 성품의 소유자로 가난하고 어려운 이웃을 먼저 생각하는 사람"이라고 평가한 뒤 "한 지명자가 안정된 국정운영의 중심축으로 자기 역할을 충실히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민병두 의원은 "당이 추천한 인물을 대통령이 수용하고, 총리로 지명함으로써 명실상부하게 당이 국정전반을 책임지고 이끌어가는 체제가 마련됐다"며 "한 지명자는 개혁과 여성시대를 대표하는 상징성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12대 국정과제추진특별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국정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분"이라고 평가했다. 우원식 의원은 "한 지명자는 사람에 대한 배려가 뛰어나고 아주 합리적인 성품을 가지고 있다"며 "국정을 안정적으로 챙기기에 적합한 사람이기 때문에 적극 환영한다"고 말했다. `한명숙 총리 만들기'에 앞장섰던 `여성의원 네트워크' 간사 유승희 의원은 "여성 총리에 대한 국민의 열망을 대통령이 잘 수용해 판단한 것 같다"며 "한 지명자는 깨끗한 정치, 생활정치의 출발점이자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이와 함께 우리당은 한나라당의 당적포기 요구에 대해선 "당적포기가 총리인준의 전제조건이 될 수 없다"며 단호하게 선을 긋는 태도를 취했다. 정 의장은 "공정한 선거관리가 문제이지 당적이 문제가 아니다"며 "당적포기 요구는 야당의 무리한 주장"이라고 일축했다. 우상호 대변인은 "우리당은 한 지명자의 당적 포기가 총리인준의 전제조건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밝힌다"며 "단순한 정치공세보다 새 총리 지명자에 대해 조언하고 충고하는 것이 건강한 야당이 해야할 일"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처럼 `한명숙 총리 지명'을 환영하는 기류가 대세였지만 한 지명자가 참여정부 후반기 국정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에는 다소 부족함이 있는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여권 일각에서 제기됐다. 한 초선 의원은 "일을 추진력있게 해결하는 능력보다는 다수의 의견을 그냥 따라가는 스타일"이라며 "한 지명자가 스스로 총대를 매고 집권 후반기 숱한 난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정윤섭 기자 jamin74@yna.co.kr (서울=연합뉴스)
민병두 의원은 "당이 추천한 인물을 대통령이 수용하고, 총리로 지명함으로써 명실상부하게 당이 국정전반을 책임지고 이끌어가는 체제가 마련됐다"며 "한 지명자는 개혁과 여성시대를 대표하는 상징성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12대 국정과제추진특별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국정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분"이라고 평가했다. 우원식 의원은 "한 지명자는 사람에 대한 배려가 뛰어나고 아주 합리적인 성품을 가지고 있다"며 "국정을 안정적으로 챙기기에 적합한 사람이기 때문에 적극 환영한다"고 말했다. `한명숙 총리 만들기'에 앞장섰던 `여성의원 네트워크' 간사 유승희 의원은 "여성 총리에 대한 국민의 열망을 대통령이 잘 수용해 판단한 것 같다"며 "한 지명자는 깨끗한 정치, 생활정치의 출발점이자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이와 함께 우리당은 한나라당의 당적포기 요구에 대해선 "당적포기가 총리인준의 전제조건이 될 수 없다"며 단호하게 선을 긋는 태도를 취했다. 정 의장은 "공정한 선거관리가 문제이지 당적이 문제가 아니다"며 "당적포기 요구는 야당의 무리한 주장"이라고 일축했다. 우상호 대변인은 "우리당은 한 지명자의 당적 포기가 총리인준의 전제조건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밝힌다"며 "단순한 정치공세보다 새 총리 지명자에 대해 조언하고 충고하는 것이 건강한 야당이 해야할 일"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처럼 `한명숙 총리 지명'을 환영하는 기류가 대세였지만 한 지명자가 참여정부 후반기 국정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에는 다소 부족함이 있는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여권 일각에서 제기됐다. 한 초선 의원은 "일을 추진력있게 해결하는 능력보다는 다수의 의견을 그냥 따라가는 스타일"이라며 "한 지명자가 스스로 총대를 매고 집권 후반기 숱한 난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정윤섭 기자 jamin74@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