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 김용갑 한나라당 의원. 이용호 기자
“광주는 해방구” 여당 반발 통외통위 파행
26일 열린 통일부에 대한 국회 통외통위 국감이 한나라당 김용갑 (金容甲) 의원의 참여정부 비난 발언을 놓고 여야가 첨예하게 맞서 중지되는 등 파행을 겪고 있다.
김 의원은 이종석(李鍾奭) 통일부 장관에 대한 질의에서 참여정부 대북 정책의 목표가 "김정일 정권 살리기를 통한 분단의 고착화와 대한민국 내 친북 세력들의 기반 확대를 통한 체제 훼손, 한미동맹 파괴를 통한 대한민국의 외교적 고립 등을 통해 결국 북한이 주도하는 통일을 도와주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북한 정권의 대변인', '노골적인 북한 편들기', '대한민국을 팔아먹는 것'이라는 등의 거친 표현을 동원해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참여정부를 강도 높게 비난했다.
김 의원은 또 지난 6월 6.15 민족대축전에 대해 "주체사상 선전 홍보물이 거리에 돌아다니고 교육현장에서 사상주입이 이뤄졌다"고 비판한 뒤 행사 개최지인 광주를 '해방구'라고 표현했다.
이 장관이 먼저 발끈하고 나섰다. 그는 "국민이 뽑은 정부, 다수 정당에 대해 그렇게 말하는 것은 대단히 유감스럽다"면서 "친북좌파니 한미동맹의 분열자니,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받아쳤다.
이어 열린우리당 의원들이 앞다퉈 도를 넘은 발언이라며 사과를 촉구하고 나섰다.
최성(崔星) 의원은 "지긋지긋한 색깔론 적 공세는 중단돼야 한다. 국민에 대한 모독"이라고 목소리를 높였고 이화영(李華泳) 의원도 "대통령은 국민이 뽑은 국군통수권자인데 (김용갑 의원의 발언은) 국군통수권을 부인하고 체제를 부정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진영(陳永) 의원이 나서 정책질의를 계속할 것을 제안했지만 우리당 의원들은 광주를 해방구로 표현한 김 의원의 발언을 문제삼았다.
정동채(鄭東采) 의원은 "광주가 해방구라고 했는데 공산치하에 있었나. 공권력이 미치지 않았나"라며 광주시민에 사과할 것을 요구했고 임종석(任鍾晳) 의원도 "국민이 뽑은 현 정권을 두고 북한 주도의 통일을 지원했느니 이런 모욕적인 발언을 어떻게 할 수 있냐"면서 정부를 부정하는 선동이라고 지적했다. 최재천(崔載千) 의원은 "광주에 대한 모욕이며 우리가 누리는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근본적 모순"이라고 사과가 없으면 국감을 진행할 수 없다고 밝혔고 장영달(張永達) 의원도 사과를 요구하며 정회를 제안했다. 김용갑 의원은 사과요구에 대해 "광주 시민이나 광주 자체를 이야기한 게 아니며 광주에서 행사를 했는데 전단을 뿌린다든지 하는 소위 친북좌파들을 지적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후에도 우리당 의원들은 사과가 없으면 국감을 진행할 수 없다고 버티자 결국 논란이 시작된 지 40여분 만인 낮 12시12분께 국감이 중단됐다. 이정진 기자 transil@yna.co.kr (서울=연합뉴스)
정동채(鄭東采) 의원은 "광주가 해방구라고 했는데 공산치하에 있었나. 공권력이 미치지 않았나"라며 광주시민에 사과할 것을 요구했고 임종석(任鍾晳) 의원도 "국민이 뽑은 현 정권을 두고 북한 주도의 통일을 지원했느니 이런 모욕적인 발언을 어떻게 할 수 있냐"면서 정부를 부정하는 선동이라고 지적했다. 최재천(崔載千) 의원은 "광주에 대한 모욕이며 우리가 누리는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근본적 모순"이라고 사과가 없으면 국감을 진행할 수 없다고 밝혔고 장영달(張永達) 의원도 사과를 요구하며 정회를 제안했다. 김용갑 의원은 사과요구에 대해 "광주 시민이나 광주 자체를 이야기한 게 아니며 광주에서 행사를 했는데 전단을 뿌린다든지 하는 소위 친북좌파들을 지적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후에도 우리당 의원들은 사과가 없으면 국감을 진행할 수 없다고 버티자 결국 논란이 시작된 지 40여분 만인 낮 12시12분께 국감이 중단됐다. 이정진 기자 transil@yna.co.kr (서울=연합뉴스)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