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심스런 행보를 보여오다 마침내 정치적 행동에 나선 고건 전 총리가 2일 충북 청주시 서창동 ‘충북 미래와 희망포럼’ 사무실에서 ‘헤쳐 모여’식 신당 추진 의사를 밝히고 있다.
‘통합신당 창당’ 고건의 구상과 파장
“더 늦으면 끝장” 위기 돌파 결단력 과시
“주도 않겠다” 몸낮춰 여당 헤쳐모여 유도
파급력은 바닥 지지율 반등 여부에 달려 조심스런 행보를 보여온 고건 전 총리가 2일 ‘헤쳐 모여식 통합신당 창당’이라는 깃발을 치켜들었다. 정치권의 정계개편 물살도 훨씬 빨라지며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그의 신당 선언은 우선 ‘언제까지나 앉아서 기다리고 있지만은 않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드러낸 것이다. 물꼬가 터진 열린우리당의 정계개편 논의를 겨냥한 ‘흔들기’의 의도도 담겨 있다. 고건 전 총리의 한 참모는 “신당에 대한 개략적인 일정을 제시함으로써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에서 중구난방식으로 진행돼온 정계개편 논의가 좀더 구체성을 띠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지난 추석 이후 뚜렷하게 드러난 지지율 하락세에 제동을 걸고 반등의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다급함이 이번 선언엔 담겨 있다. 고건 캠프의 핵심 전략 참모는 “조금 더 늦으면 결단력 없는 인물로 인식되면서 지지율이 한자리 숫자로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그렇게 되면 끝장이라는 위기감이 컸다”고 말했다. 고 전 총리의 구상은 열린우리당 다수와 민주당까지 끌어들여 ‘헤쳐 모여 방식’으로 신당을 만들자는 것이다. 어느 정파의 기득권이나 주도력 행사를 배제하기 위해 제3의 지대에서 창당을 추진하자는 방안이다. 그의 신당 구상은 열린우리당의 통합신당론과는 맥락이 조금 다르다. 열린우리당의 통합신당론은 뭉쳐서 단체행동을 하자는 것인데, 고 전 총리는 열린우리당 다수가 각개약진해서 뛰쳐나오길 바라고 있다. 그렇지만 열린우리당의 통합신당 논의를 배제하진 않았다. 고 전 총리가 ‘정기국회 이후에’ 본격적인 창당을 추진하겠다고 일정을 밝힌 것은 열린우리당의 정계개편 논의에 속도를 맞추겠다는 신호로 보인다. 대변인 격인 김덕봉 전 총리 공보수석은 “독자 신당이 아니라 모든 세력이 참여하는 통합 신당을 하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 전 총리가 “국민통합 신당의 주춧돌이 되겠다는 뜻이지 창당을 주도하겠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몸을 낮춘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그는 노무현 대통령과 ‘친노 그룹’에 대해선 배제 의사를 분명히 했다. 한 참모는 “열린우리당의 부채까지 인수할 생각은 없다는 얘기”라고 말했다.
그가 추진하는 신당의 미래는 지지율 회복과 현실 정치권의 호응 여부에 성패가 달려 있다. 그에 대한 국민 지지율이 신당 선언을 계기로 바닥을 치고 솟아오르면, 신당은 상당한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되면 열린우리당에서도 구심력보다는 원심력이 커질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지지율이 계속 떨어진다면, 고건의 승부수는 실패로 끝날 수도 있다. 신당 성공의 가능성이 불투명한 상황에선, 열린우리당 의원들이 당장 그에게 달려갈 가능성은 많지 않아 보인다. 김덕봉 전 공보수석도 “뜻을 함께하는 열린우리당 의원들이 움직일 수 있는 여건은 아니다”라고 인정했다. 다만, 일부 열린우리당 호남지역 의원들과 민주당 의원들의 이탈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주도 않겠다” 몸낮춰 여당 헤쳐모여 유도
파급력은 바닥 지지율 반등 여부에 달려 조심스런 행보를 보여온 고건 전 총리가 2일 ‘헤쳐 모여식 통합신당 창당’이라는 깃발을 치켜들었다. 정치권의 정계개편 물살도 훨씬 빨라지며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그의 신당 선언은 우선 ‘언제까지나 앉아서 기다리고 있지만은 않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드러낸 것이다. 물꼬가 터진 열린우리당의 정계개편 논의를 겨냥한 ‘흔들기’의 의도도 담겨 있다. 고건 전 총리의 한 참모는 “신당에 대한 개략적인 일정을 제시함으로써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에서 중구난방식으로 진행돼온 정계개편 논의가 좀더 구체성을 띠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지난 추석 이후 뚜렷하게 드러난 지지율 하락세에 제동을 걸고 반등의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는 다급함이 이번 선언엔 담겨 있다. 고건 캠프의 핵심 전략 참모는 “조금 더 늦으면 결단력 없는 인물로 인식되면서 지지율이 한자리 숫자로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그렇게 되면 끝장이라는 위기감이 컸다”고 말했다. 고 전 총리의 구상은 열린우리당 다수와 민주당까지 끌어들여 ‘헤쳐 모여 방식’으로 신당을 만들자는 것이다. 어느 정파의 기득권이나 주도력 행사를 배제하기 위해 제3의 지대에서 창당을 추진하자는 방안이다. 그의 신당 구상은 열린우리당의 통합신당론과는 맥락이 조금 다르다. 열린우리당의 통합신당론은 뭉쳐서 단체행동을 하자는 것인데, 고 전 총리는 열린우리당 다수가 각개약진해서 뛰쳐나오길 바라고 있다. 그렇지만 열린우리당의 통합신당 논의를 배제하진 않았다. 고 전 총리가 ‘정기국회 이후에’ 본격적인 창당을 추진하겠다고 일정을 밝힌 것은 열린우리당의 정계개편 논의에 속도를 맞추겠다는 신호로 보인다. 대변인 격인 김덕봉 전 총리 공보수석은 “독자 신당이 아니라 모든 세력이 참여하는 통합 신당을 하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 전 총리가 “국민통합 신당의 주춧돌이 되겠다는 뜻이지 창당을 주도하겠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몸을 낮춘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그는 노무현 대통령과 ‘친노 그룹’에 대해선 배제 의사를 분명히 했다. 한 참모는 “열린우리당의 부채까지 인수할 생각은 없다는 얘기”라고 말했다.
그가 추진하는 신당의 미래는 지지율 회복과 현실 정치권의 호응 여부에 성패가 달려 있다. 그에 대한 국민 지지율이 신당 선언을 계기로 바닥을 치고 솟아오르면, 신당은 상당한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되면 열린우리당에서도 구심력보다는 원심력이 커질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지지율이 계속 떨어진다면, 고건의 승부수는 실패로 끝날 수도 있다. 신당 성공의 가능성이 불투명한 상황에선, 열린우리당 의원들이 당장 그에게 달려갈 가능성은 많지 않아 보인다. 김덕봉 전 공보수석도 “뜻을 함께하는 열린우리당 의원들이 움직일 수 있는 여건은 아니다”라고 인정했다. 다만, 일부 열린우리당 호남지역 의원들과 민주당 의원들의 이탈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고건 전 총리의 지지율 추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