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당원에 투표권 주고 그 수만큼 국민 참여케”
이재오 한나라당 최고위원이 12일, 전 당원에게 투표권을 주고 그 숫자 만큼의 일반 국민에게도 투표권을 줘 선거인단 규모를 대폭 확대하는 대선 후보 경선방식을 제안했다.
이 최고위원은 “지금처럼 당원 일부만 참여해 대선 후보를 뽑게 되면 줄서기와 편가르기로 경선 뒤에도 당내 분란과 갈등이 남는다. 전 당원이 투표하게 되면 이런 후유증도 없어지고 정당정치 취지에도 가장 들어맞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전 당원의 수 만큼 국민선거인단을 선출해 투표에 참여시키고 여론조사를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최고위원이 제안한 방식은 기존 한나라당 경선제도와 ‘완전 국민참여경선제’(오픈 프라이머리)를 절충한 ‘준 국민참여경선제’ 성격을 띠고 있다. 즉, 50여만명으로 추정되는 한나라당 당원 모두와 이 숫자 만큼의 일반 국민에게 투표권을 줘 선거인단 규모를 100만명 이상으로 크게 늘리자는 것이다. 그는 이 방식을 도입하면 대의원과 당원, 일반 국민, 여론조사의 비율을 각각 ‘2:3:3:2’로 반영해 수만 명 정도의 당원만 투표할 수 있는 현 선거인단 제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재오 최고위원은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가까운 사이다.
이에 대해 박근혜 전 대표 쪽은 “중요한 것은 당원의 공감대를 얻어 만들어진 현행 규정을 잘 지키고 따르는 것”이라며 “이명박 전 시장도 현행 규정에 찬성하는 발언을 한 마당에 경선 방식을 갖고 왈가왈부하는 건 경선의 공정성을 저해하는 위험한 정치적 장난”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손학규 전 경기지사 쪽은 “아직 그런 이야기할 때가 아니다”라며 언급을 피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