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경선 규칙 논란
박 전 대표 진영 김재원의원 “박전대표 발언은 협상용 아니다”
한나라당이 다시 두 유력 주자의 첨예한 대립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6일 “세 번이나 양보했는데 또 양보하라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이제는 결정을 지어야 한다”며 ‘양보 불가’ 의지를 재확인한 것은 사실상 이명박 전 서울시장을 향한 최후통첩으로 풀이된다. 이 전 시장에게 현행 경선 규칙을 따르든지 아니면 ‘다른 선택’을 하라고 공개적으로 촉구한 셈이다.
박 전 대표 진영의 김재원 의원은 “박 전 대표는 뭔가를 더 얻어내려고 협상용이나 거래용으로 이런 발언을 할 사람이 아니다”라며 “아마 박 전 대표는 더 물러서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분당 위기에 처하더라도 경선 규칙 문제에서 더 이상의 양보는 없다는 태도를 분명히 드러냈다는 것이다.
박 전 대표의 한 측근은 “3자 회동 이틀 전 강재섭 대표가 대의원과 당원의 평균 투표율을 여론조사 반영 비율과 연동하자는 제안을 했고 이에 박 전 대표가 분명히 반대 의사를 밝혔다”며, 그런데도 계속 당 지도부가 ‘원칙’을 협상하려 하는 데 분노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한 초선 의원은 “최근 ‘군대 발언’ 등에서 나타나듯 박 전 대표가 이 전 시장에게 기본적인 신뢰가 없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박 전 대표가 배수진을 침에 따라 한나라당은 격렬한 내부 진통이 불가피하게 됐다. 두 주자가 끝내 갈라서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높아진다.
지금 상황대로라면 이번 주중 또는 주말께 나올 강 대표의 중재안은 양쪽 모두의 동의를 얻을 가능성이 거의 없어 보인다. 이 경우 지도부 총사퇴가 유력하다. 당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거나 새 전당대회를 치러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하지만 비상대책위원회나 새 전당대회는 분당이란 씨앗을 잉태하는 계기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익명을 요구한 영남지역 초선 의원은 “전당대회로 가게 되면 양쪽이 대선 경선 전초전이라 사력을 다할 것이고, 이후 필연적으로 불공정 경선 이야기가 나올 수밖에 없다”며 “이렇게 되면 한쪽의 탈당 사태를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강 대표가 자신의 말처럼 사퇴하지 않고 “대의명분에 맞는 안을 끝까지 밀어붙이는” 경우의 수도 있지만, 이때도 역시 파국의 가능성은 여전하다. 새 중재안이 전국위원회를 통과하는 공식 절차를 밟기도 쉽지 않지만, 설사 밟더라도 양쪽이 불리함을 감수하고 이를 수용하기는 어렵다. 당 일각에선 새로운 협상안이 나올 것이란 전망도 적지 않다. 경선 규칙뿐 아니라 8월로 정해진 경선 시기와 주요 당직자 인선 등을 한꺼번에 협상 테이블에 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남경필 의원 등은 “지금은 서로 나가지 않으려는 싸움이지, 나가려는 싸움이 아니다”라며, 막판에 양쪽이 경선 시기와 경선 규칙을 맞바꿀 가능성을 제시했다. 맹형규 의원은 “한나라당이 대단히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며 “두 주자가 대승적 결단을 내리지 못하면 실망한 국민들에게 버림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지금 상황대로라면 이번 주중 또는 주말께 나올 강 대표의 중재안은 양쪽 모두의 동의를 얻을 가능성이 거의 없어 보인다. 이 경우 지도부 총사퇴가 유력하다. 당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거나 새 전당대회를 치러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하지만 비상대책위원회나 새 전당대회는 분당이란 씨앗을 잉태하는 계기가 될 가능성이 있다. 익명을 요구한 영남지역 초선 의원은 “전당대회로 가게 되면 양쪽이 대선 경선 전초전이라 사력을 다할 것이고, 이후 필연적으로 불공정 경선 이야기가 나올 수밖에 없다”며 “이렇게 되면 한쪽의 탈당 사태를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강 대표가 자신의 말처럼 사퇴하지 않고 “대의명분에 맞는 안을 끝까지 밀어붙이는” 경우의 수도 있지만, 이때도 역시 파국의 가능성은 여전하다. 새 중재안이 전국위원회를 통과하는 공식 절차를 밟기도 쉽지 않지만, 설사 밟더라도 양쪽이 불리함을 감수하고 이를 수용하기는 어렵다. 당 일각에선 새로운 협상안이 나올 것이란 전망도 적지 않다. 경선 규칙뿐 아니라 8월로 정해진 경선 시기와 주요 당직자 인선 등을 한꺼번에 협상 테이블에 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남경필 의원 등은 “지금은 서로 나가지 않으려는 싸움이지, 나가려는 싸움이 아니다”라며, 막판에 양쪽이 경선 시기와 경선 규칙을 맞바꿀 가능성을 제시했다. 맹형규 의원은 “한나라당이 대단히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며 “두 주자가 대승적 결단을 내리지 못하면 실망한 국민들에게 버림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