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길 “민노총과 상설논의체를”
노회찬 “후보 먼저 뽑고” 부정적
노회찬 “후보 먼저 뽑고” 부정적
민주노동당의 대선 후보 선출방식을 둘러싼 논란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당원들에게만 대선 후보 선출권을 주도록 한 현행 당원직선제를 고수하기로 당 지도부가 최근 결정했지만, 대선 주자들 사이에서 이를 두고 또다른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현행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쪽은 권영길 전 의원단 대표다. 그는 최근 민주노총 등과 대선 관련 상설 논의체를 만들자고 주장하고 나섰다. 권 전 대표는 21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절차적인 문제로 (지지단체 회원에까지 대선 후보 선출권을 확대하자는) 민주노총의 제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 하더라도, 대선 과정에 어떻게든 민주노총 조합원 등을 참여시킬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참여’를 ‘투표권’으로만 해석해선 안된다고 주장했다. 넓게는 ‘한-미 자유무역협정 국민투표 실시’ 등 민주노동당의 정책방향을 놓고 지지단체 회원들의 의사를 물어 당에 대한 관심을 키우는 것부터, 좁게는 지지단체 회원 가운데 후원금을 낸 사람들에게도 경선 투표권을 확대하는 방식까지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권 전 대표는 곧 민주노총 지도부 등을 만나 상설 논의체 구성에 관한 의견을 나눌 계획이다.
하지만, 당내에서 이 주장이 쉽게 받아들여질지는 의문이다. 우선 “상대적으로 민주노총 지지율이 높은 권 전 대표가 경선에서 유리한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다른 대선 주자들도 대체로 부정적이다. 노회찬 의원 쪽은 “당이 후보를 먼저 뽑고, 그 후보가 민주노총 등을 어떻게 아우를지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심상정 의원 역시 “세 후보가 민주노총 사업장 순회간담회 등을 통해 당원 가입운동을 대대적으로 펼치면서 조합원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게 오히려 효과적이다”라고 말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