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캠프’ 홍사덕 공동선대위원장.
‘박근혜 캠프’ 홍사덕 공동선대위원장 일문일답
“예상대로 여당이 험하게 몰아세워” 이명박 철저검증 내비쳐
“예상대로 여당이 험하게 몰아세워” 이명박 철저검증 내비쳐
박근혜 전 대표 캠프의 홍사덕 공동 선대위원장은 12일 “후보단일화로 1-1 되는 순간 여권과 야권이 백중지세가 될 것”이기 때문에 “한나라당내 경선은 본선서 절대로 역전패당하지 아니할 사람, 어떤 경우에도 승리를 놓치지 않을 사람을 가려 뽑는 절차”라며 ‘철저 검증’을 주장했다.
홍 선대위원장은 “예상대로 어제 야당에선 구할 수 없는 구체적 자료 들고 여당 의원들이 더 험하고 모질게 몰아세웠다. 진작에 이야기 했으면 점잖게 묻고 했을텐데, 해명의 시간을 놓쳐버리고 온갖 모진 말을 다들었다”며, 박 전 대표의 캠프에서 이명박 전 서울시장을 향해 검증 의혹을 제기한 것에 대해 한나라당이 박 캠프쪽 의원들을 윤리위에 회부한 것을 비판했다.
아래는 홍 선대위원장과의 일문일답이다.
-왜 박 전 대표 캠프에서 일하게 되었나?
=박근혜 전 대표를 거들기로 한 것은 박 대표가 세가지 사(거짓, 사심, 삿된 마음)이 없는 지도자라 믿었기 때문이다. 그런 지도자가 한국을 이끌어야 한다고 믿어 왔다. 선대위가 잘 굴러가게 성심 다해 일하겠다. 그리고 투 톱이 아니다. 제가 안병훈 공동선대위원장을 모시고 실무를 익힌 바로 뒷받침하는 명백한 원톱 시스템이다. 안병훈 선배는 언론계 선배일 뿐아니라 선후배 위계 엄격한 해병대 선배기도 하다. 안 선배 모시고 실무적 원톱 시스템의 한 멤버일 따름이다.
-이명박 전 시장에 대한 평가는? = 장점 많은 분이다. 동년배이고 친구이지만, 동년배의 존경과 사랑 받는 분이다. 문제는 지금 우리가 앞둔 행사와 관련해서다. 눈앞의 일을 쫓아가니 경선과 관련한 이야기 쓰는데 정권 교체 바라는 국민 당원의 눈으로 보면 본선서 절대로 역전패당하지 아니할 사람, 어떤 경우에도 승리를 놓치지 않을 사람을 가려 뽑는 절차다. 그런데 여권은 현재 4그룹으로 표를 모으고 있으나 그렇게 토너먼트 식으로 표를 모으고 모아 결국 디제이가 요구하고 예언한 후보 단일화를 이루게 될 것이다. 지금 노 대통령이 언뜻 보기에 이해할 수 없는 행보를 하는 것도 노 대통령 지지하는 표를 결집 시키는 수순이다. 후보 단일화만 이뤄지만 마지막 단계서 노 대통령이 그 표 얹어줄 것이다. 본선이 결코 쉽지 않다. 후보단일화로 1-1 되는 순간 여권과 야권이 백중지세가 될 것이다. 그런 판에 만일 한나라당 후보가 여권서 이런 저런 흠, 결함으로 공격받게 되면 10년간 별러온 정권 교체는 물거품이 되고 만다. 당원들은 이런 상황 현상을 주목하고 있다. -탈당을 한 것으로 아는데? =용인에버랜드 사자만 사자가 아니고 아프리카 사자도 사자다. 한번도 한나라당 사람 아닌 적이 없었다. 이회창 전 총재 대통령 만들려 분투했던 사람이다. 늘 한나라당 서포터 당원인 사람의 하나일 뿐이다. -선거대책위원장인 만큼 캠프를 어찌 이끌 것인지? =박근혜 전 대표를 많이 닮아가서 무슨 특별한 비책 전략은 생각지 않고 모색하지 않는다. 성심을 다해 일할 뿐이다. 다만 시스템으로 작동되게 그동안 제가 경험한 몇가지 지혜를 적용하기로 했다. 안병훈 선배도 그렇게 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이 전 시장이 추진하려는 대운하에 대해? =그건 악몽이다. 아주 솔직히 말하겠다. 이미 한국은 물부족 국가 단계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이 나라 물은 한강·낙동강 물이 거의 전부다. 이 물을 운하로 훼손·오염시키면 4년 안에 공사 끝낸다는데 그렇게 하면 5년 뒤 우리가 대선 후보 내놓을 수 있겠나. 한나라당 당원은 이 문제에 대해 심각히 생각해야 한다. 운하에 대자 붙이는 것 절대 반대다. 남한이 중국 충칭보다 조금 크다. 그 것도 삼면이 바다인데 강 두 개 연결하고 대자 붙이면 1200킬로짜리 남조북조 공사하는 사람들이 우리를 어찌 보겠나. ‘대’자만은 제발 뺐으면 한다. -박근혜 캠프 온 것이 본선 보고 그랬다고 했는데, 이 전 시장의 이런 저런 흠이 뭐냐? 근거있냐? =박 전 대표 돕기로 마음 먹은 것은 말한 그대로다. 성의를 다해 드리는 말이다. 사사사 3가지가 없다. 통일 전까지는 이런 지도자야 탕탕평평한 인사를 할 것이고 야당의 유능한 인재를 내각에 참여시킬 것이다. 북한의 굶주린 아이들 얘기하는 박 전 대표 말씀을 한번 들었는데 박 전 대표가 박정희 전 대통령이 말한 아이들부터 배불리 먹여야 한다는 이야기를 기억할 수 있다. 그 아이들 입에 들어가는 쌀 보내면 얼마냐 좋으냐고 박 전 대표가 그랬다. 그런 사사로움 없는 마음이야 북 동포를 움직일 수 있다. -이 전 시장은 경선전 외연확대해야 한다고 했는데. =100번 옳은 말이다. 다행히 우리 캠프엔 고 전 총리를 지지성원하던 분들 중 상당수가 왔고, 민주화 투쟁과정서 기억할지 모르지만 고생 많이 한 분들이 문을 두드려 줬다. 그렇게 외연 확대가 되어 가고 있고, 앞으로도 그리 할 것이다. 이 캠프에 몰려오는 분들은 경선 뒤 당연히 우리가 모두 껴안을 것이다. 경선 끝나는 날, 박 전 대표가 한나라당의 후보로 결정되는 날 안병훈 선배와 저는 당연히 물러나고 상대후보 지원한 모든 분들 경쟁한 모든 분들, 재야 분들, 당 지키려 분투한 분들 모두 동원한 탕평한 호화 선대위가 다시 뜨게 될 것이다. 5년 동안 파헤쳐진 모든 구멍 메우고 더 행복하게 국민 만드는 일을 할 것이다. 저와 안병훈은 1차적 소임을 하는 것만으로도 큰 보람을 삼는다. -경선 전 저쪽 선대위장 만나 공정경선 선언할 의사는? =워낙 박 전 대표가 뭘 꾸미는 것 싫어해서. 꾸미는 것 아니면 박희태 선배 만나고 할 수 있다. 겉꾸미기만 아니라면. -검증 탓에 당지도부는 공천 배제 이야기도 하는데? 징계도? =솔직히 말할까? 성경서 그렇게 말하지 않으면 길가에 돌들이 외치리라고 했다. <주간동아> 기사에 대한 이 시장쪽의 해명이 허술해서 우리 캠프 의원이 물어봤다. 그게 팩트의 전부다. 그리고 징계위원회인 윤리위에 회부가 되고…. 저는 예상했다. 저렇게 막아놓으면 더 험한 말을 쓰는 사람들이 이 문제 들고 나올 거다. 예상대로 어제 야당에선 구할 수 없는 구체적 자료 들고 여당 의원들이 더 험하고 모질게 몰아세웠다. 진작에 이야기했으면 점잖게 묻고 했을텐데, 해명의 시간을 놓쳐버리고 온갖 모진 말을 다들었다. 지난번 처한 조처는 이런 결과를 보더라도 그렇게 슬기로운 것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2차 인선에 대해서는? =2, 3차 할 것없이 김무성 총장이나 안병훈 선배나 이런 분들이 그때그때 할 것이다. 조금 아까 모든 법조인들이 존경해마지 않는 강신욱 전 대법관이 김기춘 선배와 같이 왔다. 법률지원 특보단장을 맡게 될 것이다. 모든 사람들이 놀랐다. 신문윤리위원장 맡고 있는 것도 내놓고 오셨는데 나중 여러분들이 말을 들어보십시오만 동기는 박 대표에게 사가 없어서 그랬다고 말했지만 강 전 대법관은 애국심 때문이라고 말했다. 지금 20~30대에게 어떤 감동을 줄지 모르지만 저희 세대는 진한 감동을 느끼는 어휘다. 고맙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이명박 전 시장에 대한 평가는? = 장점 많은 분이다. 동년배이고 친구이지만, 동년배의 존경과 사랑 받는 분이다. 문제는 지금 우리가 앞둔 행사와 관련해서다. 눈앞의 일을 쫓아가니 경선과 관련한 이야기 쓰는데 정권 교체 바라는 국민 당원의 눈으로 보면 본선서 절대로 역전패당하지 아니할 사람, 어떤 경우에도 승리를 놓치지 않을 사람을 가려 뽑는 절차다. 그런데 여권은 현재 4그룹으로 표를 모으고 있으나 그렇게 토너먼트 식으로 표를 모으고 모아 결국 디제이가 요구하고 예언한 후보 단일화를 이루게 될 것이다. 지금 노 대통령이 언뜻 보기에 이해할 수 없는 행보를 하는 것도 노 대통령 지지하는 표를 결집 시키는 수순이다. 후보 단일화만 이뤄지만 마지막 단계서 노 대통령이 그 표 얹어줄 것이다. 본선이 결코 쉽지 않다. 후보단일화로 1-1 되는 순간 여권과 야권이 백중지세가 될 것이다. 그런 판에 만일 한나라당 후보가 여권서 이런 저런 흠, 결함으로 공격받게 되면 10년간 별러온 정권 교체는 물거품이 되고 만다. 당원들은 이런 상황 현상을 주목하고 있다. -탈당을 한 것으로 아는데? =용인에버랜드 사자만 사자가 아니고 아프리카 사자도 사자다. 한번도 한나라당 사람 아닌 적이 없었다. 이회창 전 총재 대통령 만들려 분투했던 사람이다. 늘 한나라당 서포터 당원인 사람의 하나일 뿐이다. -선거대책위원장인 만큼 캠프를 어찌 이끌 것인지? =박근혜 전 대표를 많이 닮아가서 무슨 특별한 비책 전략은 생각지 않고 모색하지 않는다. 성심을 다해 일할 뿐이다. 다만 시스템으로 작동되게 그동안 제가 경험한 몇가지 지혜를 적용하기로 했다. 안병훈 선배도 그렇게 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이 전 시장이 추진하려는 대운하에 대해? =그건 악몽이다. 아주 솔직히 말하겠다. 이미 한국은 물부족 국가 단계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이 나라 물은 한강·낙동강 물이 거의 전부다. 이 물을 운하로 훼손·오염시키면 4년 안에 공사 끝낸다는데 그렇게 하면 5년 뒤 우리가 대선 후보 내놓을 수 있겠나. 한나라당 당원은 이 문제에 대해 심각히 생각해야 한다. 운하에 대자 붙이는 것 절대 반대다. 남한이 중국 충칭보다 조금 크다. 그 것도 삼면이 바다인데 강 두 개 연결하고 대자 붙이면 1200킬로짜리 남조북조 공사하는 사람들이 우리를 어찌 보겠나. ‘대’자만은 제발 뺐으면 한다. -박근혜 캠프 온 것이 본선 보고 그랬다고 했는데, 이 전 시장의 이런 저런 흠이 뭐냐? 근거있냐? =박 전 대표 돕기로 마음 먹은 것은 말한 그대로다. 성의를 다해 드리는 말이다. 사사사 3가지가 없다. 통일 전까지는 이런 지도자야 탕탕평평한 인사를 할 것이고 야당의 유능한 인재를 내각에 참여시킬 것이다. 북한의 굶주린 아이들 얘기하는 박 전 대표 말씀을 한번 들었는데 박 전 대표가 박정희 전 대통령이 말한 아이들부터 배불리 먹여야 한다는 이야기를 기억할 수 있다. 그 아이들 입에 들어가는 쌀 보내면 얼마냐 좋으냐고 박 전 대표가 그랬다. 그런 사사로움 없는 마음이야 북 동포를 움직일 수 있다. -이 전 시장은 경선전 외연확대해야 한다고 했는데. =100번 옳은 말이다. 다행히 우리 캠프엔 고 전 총리를 지지성원하던 분들 중 상당수가 왔고, 민주화 투쟁과정서 기억할지 모르지만 고생 많이 한 분들이 문을 두드려 줬다. 그렇게 외연 확대가 되어 가고 있고, 앞으로도 그리 할 것이다. 이 캠프에 몰려오는 분들은 경선 뒤 당연히 우리가 모두 껴안을 것이다. 경선 끝나는 날, 박 전 대표가 한나라당의 후보로 결정되는 날 안병훈 선배와 저는 당연히 물러나고 상대후보 지원한 모든 분들 경쟁한 모든 분들, 재야 분들, 당 지키려 분투한 분들 모두 동원한 탕평한 호화 선대위가 다시 뜨게 될 것이다. 5년 동안 파헤쳐진 모든 구멍 메우고 더 행복하게 국민 만드는 일을 할 것이다. 저와 안병훈은 1차적 소임을 하는 것만으로도 큰 보람을 삼는다. -경선 전 저쪽 선대위장 만나 공정경선 선언할 의사는? =워낙 박 전 대표가 뭘 꾸미는 것 싫어해서. 꾸미는 것 아니면 박희태 선배 만나고 할 수 있다. 겉꾸미기만 아니라면. -검증 탓에 당지도부는 공천 배제 이야기도 하는데? 징계도? =솔직히 말할까? 성경서 그렇게 말하지 않으면 길가에 돌들이 외치리라고 했다. <주간동아> 기사에 대한 이 시장쪽의 해명이 허술해서 우리 캠프 의원이 물어봤다. 그게 팩트의 전부다. 그리고 징계위원회인 윤리위에 회부가 되고…. 저는 예상했다. 저렇게 막아놓으면 더 험한 말을 쓰는 사람들이 이 문제 들고 나올 거다. 예상대로 어제 야당에선 구할 수 없는 구체적 자료 들고 여당 의원들이 더 험하고 모질게 몰아세웠다. 진작에 이야기했으면 점잖게 묻고 했을텐데, 해명의 시간을 놓쳐버리고 온갖 모진 말을 다들었다. 지난번 처한 조처는 이런 결과를 보더라도 그렇게 슬기로운 것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2차 인선에 대해서는? =2, 3차 할 것없이 김무성 총장이나 안병훈 선배나 이런 분들이 그때그때 할 것이다. 조금 아까 모든 법조인들이 존경해마지 않는 강신욱 전 대법관이 김기춘 선배와 같이 왔다. 법률지원 특보단장을 맡게 될 것이다. 모든 사람들이 놀랐다. 신문윤리위원장 맡고 있는 것도 내놓고 오셨는데 나중 여러분들이 말을 들어보십시오만 동기는 박 대표에게 사가 없어서 그랬다고 말했지만 강 전 대법관은 애국심 때문이라고 말했다. 지금 20~30대에게 어떤 감동을 줄지 모르지만 저희 세대는 진한 감동을 느끼는 어휘다. 고맙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