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의 친노(親盧) 대선주자인 이해찬(李海瓚) 전 총리가 28일 범여권 대선후보자 연석회의를 조속히 성사시켜야 한다는 뜻을 밝혀 주목된다.
이 전 총리는 이날 국회에서 김근태(金槿泰) 전 우리당 의장과 만나 "김 전 의장이 제안한 후보자 연석회의가 필요하고 연석회의가 조속히 성사돼야 한다는데 두 사람이 인식을 같이했다"고 배석한 우상호(禹相虎) 의원이 전했다.
우 의원은 국회 브리핑을 통해 "두 사람은 대통합 신당을 만든 뒤 국민경선을 통해 강력한 후보를 선출해야 하고, 대통합 신당은 기존 정치세력 전체가 집결하는 당대당 방식의 대통합이어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고 밝혔다.
손학규(孫鶴圭) 전 경기지사와 정동영(鄭東泳) 전 우리당 의장이 전날 김근태 전 의장을 만나 후보자 연석회의의 조속한 개최에 합의한데 이어 이 전 총리도 이날 연석회의 개최에 공감을 표시함으로써 연석회의 추진작업은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특히 `범여권 빅3'가 김근태 전 의장을 매개로 연석회의 개최에 공감을 표시했다는 점에서 범여권 통합의 무게중심은 세력통합에서 후보간 통합 작업으로 더욱 기울 전망이다.
다만 이 전 총리는 본인의 후보자 연석회의 참여 시기에 대해선 "열린우리당 내부의 논의를 거쳐 조만간 입장을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우 의원은 "이 전 총리는 열린우리당 소속인 만큼 당내 다른 후보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며 "자신의 연석회의 참여방안과 관련, 합리적 방안을 고민해 우리당 지도부에 의견을 전달할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이는 이 전 총리가 열린우리당 대선주자로서 자신의 입지를 명확히 하면서 당내 대선주자들간 `교통 정리' 작업에 우선적으로 나서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또 당내 `친노세력'을 끌어안고 가겠다'는 구상 하에서 열린우리당이 통째로 참여하는 대통합 신당을 성사시키고, 이를 위해 자신이 당내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이 전 총리는 이날 김 전 의장과의 회동에 앞서 모두 발언을 통해 "지역을 다녀보면 역시 댐에 물이 차야 배를 띄울 수 있다는 견해가 많더라"며 "국민대통합 신당을 만든 뒤 국민경선을 통해 대선후보를 만들어야 한다는 게 기본 입장이자 당의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전 총리의 한 측근은 "손 전 지사와 정 전 의장은 각각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을 탈당한 자유로운 위치에서 후보자 연석회의에 참여할 수 있지만 이 전 총리는 우리당 내에 있다"며 "이 때문에 이 전 총리는 대통합신당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연석회의에 참여하겠다는 뜻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정윤섭 기자 jamin74@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