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합신당 외에 다른 가능성 없어"
범여권 잠룡(潛龍)으로 분류되는 열린우리당 유시민 의원은 12일 자신의 대선출마 여부와 관련, "솔직히 아직 결정을 못했지만 준비는 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 의원은 이날 저녁 전남대에서 가진 `진보와 보수, 그리고 민주적 리더십'이라는 강연을 한 후 출마 의향을 묻는 청중의 질문에 "언젠가 내릴 결정이 `불출마'라면 준비를 안해도 되지만 그게 `출마'라면 준비가 안돼있으면 곤란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어떤 날은 대통합신당이 될 것 같다가 어떤 날은 안될 것 같은 상황이 반복되고 있어서 제가 어느 당에서 출마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대통합신당의 윤곽이 나와야 (출마여부를) 결정할 것 같다"고 말했다.
유 의원은 당초 준비한 강연 원고에서는 "민주적 리더십을 확립하려면 국회의원 중대선거구제 등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뤘지만 실제 강연에서는 대통합신당과 대선 후보 결정 과정 등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데 집중했다.
그는 "정권재창출을 한다면서 현존하는 정권을 부정한다면 그게 논리적으로 성립하느냐"고 묻고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 10년을 국민과 함께 승리한 10년으로 규정하는 게 정권재창출이고 그게 대통합신당이라고 생각하고 찬성한다"고 말했다.
특히 "한나라당에서 14년간 도지사, 국회의원, 장관 한 사람도 동질세력이고 노 대통령을 탄핵했던 분들도 동질세력인데 탄핵에 가담한 적도, 한나라당에 몸을 담은 적도 없는 저는 당원이 주인되는 당을 원했는데 이질세력이냐"고 불만을 표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7월말이나 8월초에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이 오전에 당 대 당으로 결합하고 오후에 시민사회 창당 대회 때 결합하는 `원샷 대통합'을 만드는 게 바람직하다"며 "저도 당에 남아있으면 자연스럽게 합류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다른 분들이) 제가 대통합신당에 반대하는 것처럼 얘기하는데 지금은 다른 모든 가능성이 봉쇄돼 있으니 대통합신당 하시라는 거다"며 "다만 탈당하고 오라면 저는 못 간다는 거다"고 말했다. 자신이 대통합에 찬성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한나라당이 정권을 잡는다고 전쟁이 나거나 나라가 망하는 건 아니지만 그럴 경우 대한민국 발전 방향이 역방향으로 가거나 지체돼 국민이 고생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자신의 정책 비전을 `선진통상국가'와 `사회투자국가'라는 양대 축으로 규정한 그는 "저는 이 정책을 갖고 가겠다"고 말하고 "각자가 국민에게 물어서 이기는 정책이 대통합신당의 정책이 되는 약속을 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10명이든 20명이든 경선 해서 컷오프 하고 나중에 한 사람을 세우면 그 후보의 정책이 당의 정책이 되는 거다"며 "선진통상국가와 사회투자국가 노선을 확고하게 하는 후보가 `원샷 대통합 신당'의 후보가 되게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유 의원은 "민주주의는 콘텐츠(내용)가 아니라 프로세스(절차)"라며 "사실 탄핵 때 대통령이 `막지 말고 토론하고 표결해서 결정하라'고 했는데 겁이 나서 육탄저지했다"고 소개하고 "그 때문에 한나라당이 국보법 개정을 육탄저지해도 비난할 명분이 없게 됐다"고 말했다. 김상희 기자 lilygardener@yna.co.kr (광주=연합뉴스)
그는 구체적으로 "7월말이나 8월초에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이 오전에 당 대 당으로 결합하고 오후에 시민사회 창당 대회 때 결합하는 `원샷 대통합'을 만드는 게 바람직하다"며 "저도 당에 남아있으면 자연스럽게 합류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다른 분들이) 제가 대통합신당에 반대하는 것처럼 얘기하는데 지금은 다른 모든 가능성이 봉쇄돼 있으니 대통합신당 하시라는 거다"며 "다만 탈당하고 오라면 저는 못 간다는 거다"고 말했다. 자신이 대통합에 찬성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한나라당이 정권을 잡는다고 전쟁이 나거나 나라가 망하는 건 아니지만 그럴 경우 대한민국 발전 방향이 역방향으로 가거나 지체돼 국민이 고생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자신의 정책 비전을 `선진통상국가'와 `사회투자국가'라는 양대 축으로 규정한 그는 "저는 이 정책을 갖고 가겠다"고 말하고 "각자가 국민에게 물어서 이기는 정책이 대통합신당의 정책이 되는 약속을 하자"고 제안했다. 그는 "10명이든 20명이든 경선 해서 컷오프 하고 나중에 한 사람을 세우면 그 후보의 정책이 당의 정책이 되는 거다"며 "선진통상국가와 사회투자국가 노선을 확고하게 하는 후보가 `원샷 대통합 신당'의 후보가 되게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유 의원은 "민주주의는 콘텐츠(내용)가 아니라 프로세스(절차)"라며 "사실 탄핵 때 대통령이 `막지 말고 토론하고 표결해서 결정하라'고 했는데 겁이 나서 육탄저지했다"고 소개하고 "그 때문에 한나라당이 국보법 개정을 육탄저지해도 비난할 명분이 없게 됐다"고 말했다. 김상희 기자 lilygardener@yna.co.kr (광주=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