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반영비율 대립
한때 분당 위기까지
조사방식 충돌 이미 예고
한때 분당 위기까지
조사방식 충돌 이미 예고
여론조사 설문문항을 놓고 불거진 이명박-박근혜 두 후보 사이의 갈등은 경선규칙 격돌 ‘3라운드’라 할만 하다.
1라운드는 올 초부터 벌어진 경선시기와 규모를 둘러싼 대립이었다. 당시 지지율에서 박 후보에 20%포인트 가까이 격차를 벌렸던 이 후보 쪽은 시기는 애초 당헌·당규대로 6월로 하되 규모는 20만명으로 늘리자고 주장했다. 반면, 박 후보 쪽은 경선 시기를 9월께로 늦추되 규모는 당헌당규가 정한 4만명 선으로 하자고 맞섰다. 한 치의 양보도 없던 두 진영의 갈등은 ‘8월-20만명’이란 강재섭 대표의 중재안을 3월16일께 받아들이면서 봉합됐다. 이때 대의원(20%, 4만명)-당원(30%, 6만명)-일반국민(30%, 6만명)-여론조사(20%, 4만명)라는 선거인단 비율도 재확인했다. 이 와중에 9월 40만명 참여를 주장한 손학규 전 경기지사가 탈당했다.
잠복했던 갈등은 4·25 재·보선 패배의 후유증으로 당이 몸살을 앓을 때 다시 터져나왔다. 여론조사 반영 비율이 불씨가 됐다. 이 후보 쪽은 당심과 민심을 5-5로 반영되게 하려면 여론조사 4만명 분을 그대로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의원, 당원보다 일반 국민의 투표율이 낮아 여론조사 비중을 보장해야만 균형을 맞출 수 있다는 논리였다.
하지만 박 후보 쪽은 “이렇게 하면 여론조사 비중이 지나치게 높아져 애초 정한 선거인단 구성비율(2-3-3-2)을 깬다”며 강력히 반발했다. 박 후보는 “원칙을 걸레로 만들어 놨다”고까지 말했다. 대립은 분당 직전까지 치달았다. 강 대표는 △선거인단 규모 확대(20만명→23만여명) △여론조사 반영비율 최소 67%보장을 뼈대로 한 중재안을 내놨다.
결국 사태는 이 후보가 5월14일 기자회견을 열어 “여론조사 반영비율 67% 하한선 보장을 뺀 중재안을 받아들이겠다”고 발표하면서 일단락 됐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