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민주노동당도 ‘검증 바람’이 불고 있다. 13일 발행된 당 기관지 〈진보정치〉는 심상정·노회찬·권영길 세 경선 후보의 과거행적·활동평가·정책비전 등을 위주로 ‘지상청문회’를 실었다. 〈진보정치〉는 각 후보들에게 던진 질문은 당원·선거관리위원회·상대방 후보들로부터 받아 선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의무사항 아니라서…밝히는 게 옳았다”
심상정-시부모 재산 비공개
심상정 후보는 시부모 재산 비공개가 도마에 올랐다. 심 의원은 지난 2004년 의원 재산공개 당시 다른 의원 5명과 함께 직계존비속의 재산을 공개하지 않았다. 그러나 심 후보는 이후 다른 공직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등에서는 직계존비속의 재산 비공개 문제에 대한 매우 비판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시부모 재산공개를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심 후보는 “시부모를 모시지 않고 있어 법상 의무사항은 아니라 굳이 하지 않았다”며 “공직자 재산형성의 투명성을 위해선 밝히는 게 옳았을 것”이라고 해명했다.
심 후보는 또한 97년 민주노동당 창당 당시 ‘시기상조론’을 내세우지 않았냐는 의혹에 대해선 “사실이 아니다”라고 강하게 부정했다. 이지안 공보특보는 “금속노조 일각에선 그런 주장도 있었지만 심 의원은 창당에 적극적이었고 이후 당대회 부의장도 맡아 활동했다”고 덧붙였다.
“안기부 엑스파일 사건 소송비 대느라”
노회찬-의원실 보좌관 특별당비 체납
노회찬 후보는 의원실의 보좌관 특별당비 5500만원 체납이 지적됐다. 민주노동당은 매달 의원에겐 180만원, 보좌관은 230만원만 지급하고 나머지는 모두 특별당비로 걷고 있다. 노 후보 쪽은 “안기부 엑스파일 사건 등으로 소송비용이 대폭 늘어나면서 의원실 살림이 쪼들렸다. 곧 밀린 당비를 내겠다”고 해명했다. 노 후보는 또한 지난 96년 총선을 앞두고 ‘꼬마민주당’에 입당해 공천을 신청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사실과 틀리다”고 반박했다.
노 후보가 공동대표를 맡았던 ‘진보정치연합’이 대의원대회를 열어 시민운동 진영의 개혁신당에 합류하기로 결정한 것이며, 이후 개혁신당과 꼬마민주당이 합쳐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실형을 받았던 노 후보는 사면복권되지 않아 출마가 불가능했으며 이후 탈당했다.
권영길-‘서민’과 동떨어진 재산 보유
“일부는 모친·장남 소유…형성과정 투명”
권영길후보는 ‘서민대통령’ 이미지에 걸맞지 않는 재산 보유가 논란이 됐다.
권 의원은 강남구 일원동 55평 빌라와 창원의 전셋집 아파트 등 9억2천여만원의 재산을 갖고 있다.
권 의원 쪽은 “어머니·장남 명의의 부동산이 있지만 이는 본인과 관계없는 것이며, 모든 재산 형성 과정은 투명하다”고 말했다.
최근 당내 ‘자주파’가 권 후보 지지를 결정한 것과 관련해, 혁명열사릉 참배 발언 등 권 후보가 자주파를 의식한 행보를 보이고 있지 않느냐는 지적에 대해서도, “우리는 자주파 뿐 아니라 평등파 등의 지지도 고루 받고 있다”고 일축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안기부 엑스파일 사건 소송비 대느라”
노회찬
권영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