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12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당 공천 양상을 강하게 비판하는 긴급 기자회견을 마친 뒤 의원실을 나서고 있다. 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영남 50%물갈이 합의설’에 음모론 제기
‘측근 탈락’ 손 못쓰기 전 최후압박 분석
‘측근 탈락’ 손 못쓰기 전 최후압박 분석
칩거 엿새 만에 폭발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분노에 도화선이 된 것은 <노컷뉴스>에 나온 ‘영남 의원 50% 물갈이 합의설’이었다. 하지만 그 이면엔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인간적 신뢰감 상실이 자리한 것으로 보인다. 영남 물갈이를 앞둔 공개경고의 성격도 짙다.
박 전 대표는 12일 국회에서 연 기자 간담회에서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실망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그는 “이 대통령에게 기준이 있는 공천이 돼야한다고 분명히 말했고 이를 믿고 지켜봤지만, 국민들이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 있다”며 “그렇다면 (이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 깨지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그는 ‘영남 50% 물갈이 합의’에 관해서 “다짜고 뒤집어 씌우려는 것”, “기막힌 술수가 난무한다”, “귀신같은 이야기다”며 이 대통령 쪽이 계파를 챙기려 음모를 펴고 있다는 인식을 내비쳤다. 한 부산지역 측근 의원은 “청와대가 거래설까지 흘리며 정략적인 기획을 펼치는 부분에 대해 박 전 대표가 참을 수 없이 비열하다고 느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견은 영남 공천을 하루 앞둔 상황에서 공천심사위를 압박하는 의도도 담긴 것 같다. 당 안팎에선 예전엔 교체 대상에 거론되지 않았던 박 전 대표의 최측근들까지 살생부에 올랐다는 이야기들이 나돈다. 한 측근 의원은 “박 전 대표가 이대로 가면 측근들이 몰린 영남권 공천심사에서도 줄탈락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한 것 같다”며 “공천심사위에 강한 경고를 던진 것”이라고 말했다. 공천 심사 지연에 대한 불만도 섞여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박 전 대표 쪽은 2월말까진 공천을 마쳐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박 전 대표 쪽은 “계속 공천 시기가 늦춰지는 것은 공천에서 탈락시킨 뒤 일말의 시간적 여유도 주지 않겠다는 의도가 담긴 것”이라는 태도를 보여왔다.
하지만 공개경고의 적절성과 실효성에 관해선 측근들 사이에서도 갸우뚱하는 분위기다. 박 전 대표가 ‘원칙’과 ‘정치개혁’을 앞세워 직접 공천 난국 타개에 나섰지만 공허했다는 지적이다. 한 의원은 “장시간 칩거한 뒤 한 말 치고는 실망스럽다”며 “사실 확인이 되지 않은 보도를 보고 발끈하는 식으로 반응해 뭘 해결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공심위에 시정할 사항을 요구하거나, 탈당 배수진을 치겠다든지 하는 회견을 했어야 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한 관계자도 “자기 계파를 안심시키지도, 상대나 공심위를 압박하지도 못한 회견이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앞으로의 공천심사에서도 큰 영향력을 발휘하기는 어려운 것 아니냐는 전망이 많다. 한 측근 의원은 “경고의 효과가 뭐 없기야 하겠느냐, 하지만 워낙 공천심사위의 계파 구분이 명확해서 한계가 있을 것 같다”며 말끝을 흐렸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