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두언 “땅 나중에 파고 하천 재정비 먼저”
한나라당 안에서 한반도 대운하 계획을 수정해 추진하자는 기류가 일고 있다.
정두언 의원은 19일, “지난 13일 이명박 대통령과의 청와대 오찬 회동에서 ‘한반도 대운하를 한강 개발과 같은 (하천) 재정비 사업으로 우선 추진하고 (강의) 연결 부분은 (나중에) 계속 논의하자’고 건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한반도 대운하는 당초부터 명칭이 잘못돼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킨 것 같다. 마치 맨땅을 파서 물을 채워 배를 띄우는 것처럼 인식되고 있다”며 “그러나 실상은 낙동강, 영산강을 지금의 한강처럼 만들고 나중에 연결부분을 만들겠다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정 의원은 또 “한강은 과거 홍수가 나고 갈수기엔 물이 말라 악취가 났는데 지금은 물도 맑아지고 둔치를 따라 운동장과 공원이 즐비하게 들어섰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의 주장은 운하의 운송 기능을 뒤로 미루고 치수와 하천정비 사업을 앞세우자는 것으로 운하에 대한 거부감을 누그러뜨리려는 의도로 보인다. 최근 확인된 국토해양부 국책사업지원단의 대운하 추진계획과도 맥락이 비슷하다. 정 의원은 “이 대통령이 ‘그런 방안도 있겠네’라는 반응을 보였다”고 말했다.
이에 이한구 한나라당 정책위 의장은 “정부 쪽에 대운하 계획에 대한 보완책을 요구해놓고 기다리고 있을 뿐 당으로선 어떤 계획도 마련하고 있는 것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운하 전도사’를 자처해 온 이재오 의원은 이날 자신의 홈페이지에 글을 올려 “운하는 원래의 뱃길을 복원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지난달 19일 <한겨레>에 실린 수경 스님의 ‘생명의 강에 비친 우리네 탐욕, 대운하가 바로 그것이었습니다’란 글에 반박하는 형식의 글에서 “이름을 거창하게 대운하라고 한 것이지 사실은 강따라 뱃길을 복원하는 것”이라며 “4대 강을 원래의 강으로 복원하고 물길과 뱃길을 살리고 강변 정리를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하는 게 자연생태계의 재앙을 미연에 막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