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 밖의 ‘심’
자유선진당이 심대평 총리설로 뒤숭숭하다. 이회창 총재와 심대평 대표 사이도 불편해지고 있다.
심 대표는 17일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제안이 온 것은 없다. 그러나 9회 투아웃 위기에 선발 투수감이라도 감독(이명박)이 원하면 원 포인트 릴리프(타자 한 명만 상대하는 구원투수)로 나갈 수 있는 것 아니냐”며 “현 정치 상황은 정계 개편의 틀이 아닌 심대평 개인 역량의 문제로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나는 공직을 해온 사람이고, (사람을) 쓰는 건 쓰는 사람의 마음”이라고도 말했다. 총리직에 강한 의욕을 비친 것이다.
하지만 이회창 총재를 비롯한 의원들은 심 대표 총리설은 근거 없는 것이라며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이 총재는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주요 당직자회의에서 “지난 청와대 회동에서 무슨 중요한 밀담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지만 오해를 피하기 위해 회담 내용을 구술하다 보니 시간이 좀 걸린 것”이라며 청와대의 ‘심대평 총리 제안설’을 거듭 일축했다. 한 핵심 당직자는 “자꾸 심대평 총리설이 나오니 마치 이 총재가 청와대를 찾아가 ‘우리 사람 하나 써주십시오’라고 부탁한 것처럼 비쳐 부담스럽다”며 “이 총재도 심 대표가 분명히 (거부의) 입장을 표명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선진당은 이날 청와대에 심대평 총리설에 관해 사실무근이라는 해명을 해 달라고까지 요청했다.
행정 관료 출신으로 총리직에 의욕이 있는 심 대표와 이명박 정부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려는 이 총재의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지점인 셈이다. 심 대표로서는 행정 관료의 최고봉인 총리직을 맡아 경험을 발휘한 뒤 향후를 내다볼 수 있다. 그러나 ‘정통 보수’를 내세워 현 정부를 견제하고 당장 차기 대선을 노리는 이 총재로선 ‘심대평 총리’는 야당 지도자란 자신의 기반을 허무는 사안이다. 특히 이명박 정부의 지지율이 바닥을 기는 현 상황에서, 이 대통령과 한 배를 타고 싶지 않은 것이 이 총재의 생각으로 여겨진다.
선진당은 여권에서 추진하고 있는 보수대연합에 관해서도 분명한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주요 당직자회의에서 “지금 위기가 보수 세가 약해서 생긴 것이라고 생각해선 안 된다. 이 사태는 보수정권이 제대로 못했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며 “국민의 마음을 아우르는 것이 중요하지 보수의 세가 모여야만 난국을 풀 수 있다는 것은 제대로 된 인식이 아니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